![]() |
| 이재명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이 최근 회동을 갖고 800조 원이 넘는 국내 투자 계획을 내놓았지만, 투자 지역 대부분이 경기도와 영·호남에 집중되면서 충청권이 제외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
18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6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합동회의에서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LG그룹 구광모 회장, HD현대 정기선 회장,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한화그룹 여승주 부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과 만났다.
이번 회동은 미국과의 관세협상으로 국내 투자·고용 감소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후속 논의의 성격이었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는 경기 평택 5공장 건설을 포함해 향후 5년간 450조원, SK는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128조원, 현대차는 2030년까지 총 125조원, LG는 100조원, HD현대는 15조원, 한화는 11조원, 셀트리온은 4조원을 각각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이날 참석한 7개 기업이 밝힌 투자 규모는 800조원을 넘었다.
지역 경제계와 지자체에선 대기업들이 발표한 투자계획 대부분이 이미 추진 중이거나 보류됐던 사업이 재개된 것으로 풀이했다. 특히 삼성의 평택 5공장과 SK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여기에 세계적 AI산업 열풍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데 따라 생산라인 증설이 불가피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반도체 분야는 클러스터화를 해야 수익성이 극대화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용인과 평택에 해당 산업군이 몰려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신규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AI데이터센터 신설 정도다.
AI데이터센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막대한 전력 공급인데, 에너지자립도가 낮은 대전시나 노후 화력발전밖에 없는 충남도 등 충청권은 사실상 거론조차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송전선로가 길어질수록 전력손실이 증가해서다. 이 때문에 지역 경제계와 지자체는 전력 인프라가 충청권의 최대 약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대전에는 발전소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고, 충남은 노후된 화력발전소가 뿐이어서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기엔 입지여건이 불리하다"면서 "전력 확보가 가장 중요한 국가 AI데이터센터의 입지 여건에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AI데이터센터 유치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시 관계자는 "신규사업이라 할만한 AI데이터센터의 경우 생산시설이 아니다 보니 일자리 창출은 거의 없다"면서 "이 때문에 지역 내 소비 유발 효과도 거의 없어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흥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