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밝힌 계획은 기존에 발표한 투자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이다. 삼성그룹은 R&D를 포함해 향후 5년 간 450조원을 투자해 6만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중단됐던 평택 P5공장을 재착공하고 구미·광주·울산 등 비수도권에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125조2000억원, SK그룹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2028년까지 128조원, LG그룹은 100조원이 넘는 국내 투자를 약속했다.
대기업들의 투자 계획은 한미 관세합의에 따른 대규모 대미 투자로 인한 국내 산업 공동화 우려를 덜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걱정되는 건 대기업들의 투자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영·호남지역을 안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이 발표한 대규모 투자 계획 대부분이 이미 추진 중이거나 보류됐던 사업들을 재개하는 수준이라고 볼 수 있지만 충청권 지자체가 방관해선 안될 일이다.
충청권은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AI 대전환 혁신 거점 사업'에도 제외됐다. 대구·광주·경남·전북 등 영·호남 4개 지역만 수조원이 투입되는 거점 사업지로 선정된 것이다. 정부의 역점 정책 사업에서 밀리고, 대기업 투자에서 소외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충남도가 보령에 2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하는 등 충청권 지자체는 민자 유치에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다. 정부 핵심 사업과 대기업 투자 유치에도 소외되지 않도록 행정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