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지방 공사 지역업체 확대 방안'의 주된 내용은 금액 한도 상향에 있다. 지역 제한 경쟁의 입찰 허용 기준을 공사 금액 88억~100억 원에서 150억 원 미만으로 일괄해 올린 건 상당한 진전이다. 100억 원 이상 공사 전 구간에서 지역 업체 우대 평가를 강화한 것도 마찬가지다. 시뮬레이션 결과인 기존 대비 7.9% 이상의 수주 확대 효과를 지역 업체들이 누렸으면 한다.
현행 입찰 방식에서 잘못된 부분은 실제 참여 기업이라면 거의 모두 체감한다. 지난해 지방 공사 수주금액 중 38%를 수도권 업체가 가져간 것만으로도 판명되는 사실이다. 원도급이 수도권에 배정되면 하도급 역시 수도권으로 쏠린다. 수도권 업체가 지방 공사의 상당 부분을 수주하는 현실은 지역 건설경기 침체의 원인에서 빼놓을 수 없다. 정부가 여기에 주목해 맥을 정확히 짚었다고 본다. 앞으로 지역업체에 대한 추가 가산점 제도를 포함해 보완을 더 거쳐야 한다. 낙찰자 평가 등에서 지역경제 기여도를 많이 반영하는 것 역시 국가·지방 계약제도의 올바른 개선 방향이다.
지역 건설업계 담합을 막기 위한 장치는 물론 필요하다. 이 기회에 수도권 건설사가 일감을 딸 목적으로 지방 건설사로 위장하는 '형식적 이전'부터 끊어내야 한다. 서류상 존재하는 페이퍼 컴퍼니 등 옥석을 가려내는 건 기본이다. 지역 주택시장 부진을 보면 시간이 없다. 올해 들어 부강건설, 계성건설, 대저건설, 대흥건설 등 지역별 1·2위 건설사들이 부도 처리되거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을 만큼 위태롭다. 관련 법규(지방계약법 시행규칙·계약예규 등) 개정을 서두르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