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동대 'ESG 사회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포항지역 고등학생 54명과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이 대학 RISE 사업단이 주최하고 국제어문학부가 주관한 행사에 포항지역 고등학생 54명이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RISE 사업단의 지역 현안 해결 의지와 '국제적 소통'과 '인문학적 공감'을 교육하는 국제어문학부의 핵심 역량이 결합돼 기획됐다.
특히 ESG 문제를 단순한 기술·경제 문제가 아닌, 복잡한 이해관계자 간의 '외교적 소통' 문제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행사는 ㈜쉐어라이프 좌민기 대표의 'ESG 임팩트 만들기' 특강으로 시작됐다. 좌 대표는 '물이 깨끗해도 맛이 없으면 마시지 않는다'는 해외 사례를 들어 "ESG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대상의 입장이 돼 생각하는 '깊은 공감'과 '문제해결능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시뮬레이션에서 학생들은 포항의 핵심 현안을 두고 8개의 상충하는 이해관계자 역할을 맡아 오전에 배운 '공감'을 바탕으로 오후 5시간 30분간 치열한 정책 협상을 펼쳤다. 그 결과 7개 조항의 '정책 합의문'을 실제로 도출해냈다.
현장 운영을 맡은 김세빛 팀장은 "학생들이 장시간 놀라운 집중력을 보여줬다"며 "이론으로만 접했던 지식이 자신의 삶과 연결되는 순간을 발견하고 그 경험에 완전히 몰입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면서 지적 희열을 느끼는 모습이었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프로그램을 총괄 기획한 정모니카 국제어문학부 교수는 "프로그램은 경쟁이 아닌 자유로운 몰입 환경에서 학생들이 창의적인 ESG 해결책을 논의하도록 설계했다"며 "학생들이 자신의 소중한 가치를 깨닫고 자신감 있게 목소리를 내며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규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