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희용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박희용 의원(부산진구1)은 25일 시민건강국 본예산 심사에서 공공심야약국 운영 실태, '부산생명의전화' 예산 삭감 문제, 그리고 최근 청소년 응급 미수용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부산시 응급의료·정신건강 안전망의 구조적 허점을 지적하며 신속한 개선을 촉구했다.
박희용 의원은 공공심야약국의 심야 시간대 및 취약지역 의약품 접근성 보장을 강조하며, 올해 확대된 16개 운영소의 지역별 배치 적정성 및 의료 취약지역의 균형적 확충 필요성에 대해 질의했다.
또한 현재의 실적 보고 체계에서 발생하는 기록 누락 및 입력 오류 문제를 짚으며, 객관적인 검증 절차와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365일 24시간 시민 위기 개입 기능을 수행해온 부산생명의전화의 2026년 예산이 전년 대비 약 15% 삭감된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예산 삭감의 근거로 제시된 '유사업무 중복'에 대해 기능적 차이와 현장 연계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삭감으로 인해 시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책 마련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박 의원은 최근 고등학생이 경련 이후 1시간 넘게 응급실을 찾지 못해 끝내 사망에 이른 사건을 언급하며, 이는 단순한 의료기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부산시 응급의료 연계·수용 체계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비극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병원 간 전원 연계 체계 정비, 실시간 수용 가능 응급 병상 공유, 소아·청소년 응급 대응 역량 강화 방향 마련 등 시 차원의 종합적 대응체계 구축을 요구했다.
박희용 의원은 "공공심야약국의 접근성 강화, 생명의전화의 안정적 운영, 응급의료 연계 시스템 개선은 부산시민이 위기 상황에서 제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안전망"이라며 "부산시가 현장의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실효적인 대응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