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트플랫폼,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 전국
  • 수도권

인천아트플랫폼,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 승인 2017-04-27 13:04
  • 주관철 기자주관철 기자
인천시 중구에 위치한 인천아트플랫폼 일대에서 오는 5월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제5회 디아스포라영화제가 개최된다.

디아스포라영화제는 인천시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하고, 인천시영상위원회와 인천문화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로, 지난 4년간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문화 다양성의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평을 받으며 지역의 내실 있는 영화제로 자리 잡았다.

영화제의 꽃이라 할 수 있을 개막작은 인천의 공단에서 함께 일하는 캄보디아 출신의 린과 한국인 연희의 만남과 자매애를 그린 김정은 감독의 <야간근무>가 선정되었다. 서로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지만 청년으로서, 노동자로서 서로의 고민을 나누는 두 여성의 우정은 올해 디아스포라영화제의 슬로건 ‘환대의 시작‘을 대변하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영화제를 마무리하는 작품인 폐막작으로는 김정근 감독의 다큐멘터리 <노웨어 맨>이 선정되었다. 한국에 거주 중인 파키스탄 출신의 난민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노웨어 맨>은 난민과의 공존이 더 이상 다른 나라의 일이 아닌, 바로 우리의 문제임을 일깨울 줄 소중한 작품이 될 것이다.



올해 영화제에서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화두인 디아스포라의 전선에서 투쟁하는 ‘난민’과 ‘여성’을 다룬 영화들을 상영하는 주력 프로그램 <디아스포라 인 포커스(Diaspora in Focus)>섹션을 신설하고, 디아스포라의 개념적 외연을 확장하면서 현대사회의 다양한 디아스포라들을 조명하고자 엄선한 <디아스포라 월드와이드 (Diaspora World Wide)>와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섹션,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삼인의 작가가 (심보선, 임경선, 장강명) 직접 선택한 대중영화를 디아스포라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디아스포라의 눈(Diaspora’s Eye)>섹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해당 섹션들을 통해 다양한 층위의 디아스포라를 다룬 전 세계 33개국 50편의 작품들을 상영하며 ‘환대’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공존하는 삶‘에 대해 함께 성찰하고자 한다.

특히 상영작 중 20편의 작품은 이번 영화제를 통해 한국에서 최초로 공개된다. 난민 문제에 대한 핀란드 사회의 극단적 반응을 놀라운 균형 감각으로 다루는 <보일링 포인트 Boiling Point>(감독: 엘리나 히르보넨 Elina Hirvonen), 미국 사회의 흑인의 현실을 문학적으로 재구성, 평단의 호평을 받으며 올해 아카데미시상식 최우수 다큐멘터리 후보에도 올랐던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I am Not Your Negro>(감독: 라울 펙 Raoul Peck), 난민을 향한 환대가 삶의 연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역설하는 불가리아 시골 마을 우체부의 시장 선거 도전기 <굿 포스트맨 Good Postman>(감독: 토니슬라브 흐리스토브 Tonislav Hristov)과 새로운 세상을 꿈꾸던 시리아 청년들의 열정을 목숨 걸고 기록한 용감한 다큐멘터리 <워쇼 The War Show>(감독: 오바이다 자이툰, 안드레아 달스가드 Obaidah Zytoon, Andreas Dalsgaard) 는 다큐멘터리의 생생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문제작들이다.

또한 자신이 태어난 고국을 떠나 새로운 나라에서 새 출발하면서 겪는 방황과 고민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한 신진 감독들의 (감독: 후안 안드레스 아란고 Juan Andrs Arango)과 <완벽한 내일 The Future Perfect>(감독: 넬 왈로와츠 Nele Wohlatz), 난민 이슈를 시적으로 풀어낸 튀니지의 판타지 영화 <마지막 존재 The Last of Us>(감독: 알라 에딘 스림 Ala Eddine Slim) 등이 한국 관객과의 첫 만남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한국을 포함 국내외 다양한 게스트들이 참석해 상영 후 사이토크를 진행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보다 확장 된 개념의 디아스포라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자리를 마련코자 한다. 영화를 연출한 감독, 영화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층위의 디아스포라들,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해 연구해 온 연구자, 작가와, 영화 전문 기자 등이 영화 상영 후 관객들과 함께 하는 사이토크는 디아스포라의 현재적 의미를 탐색해 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디아스포라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준비한 아카데미 프로그램에는 대표적인 재일조선인 학자이자 동시대의 가장 주목받는 지식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서경식 교수(도쿄경제대학교)가 또 한 번의 특별 프로그램으로 함께 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일본의 다큐멘터리 감독 가마쿠라 히데야의 다큐멘터리를 상영하고 작품과 더불어 ‘난민’을 주제로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누는 대담이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편견을 조장하는 영상 속 디아스포라의 ‘재현’을 주제로 한 포럼과 한국 사회가 환대의 장소로 나아가기 위한 경로와 과정에 대해서 토론하는 포럼, 여성학자 손희정과 함께 이주, 노동, 여성을 키워드로 올해의 상영작과 연계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누는 특별 대담 등이 준비되어 있다. 그 어느 해보다 다채로운 아카데미 프로그램들이 준비 된 아카데미 프로그램에 많은 이들의 귀추가 주목된다.

인천아트플랫폼 야외광장은 ‘환대의 광장’이라는 이름으로 구성된다. 이곳은 영화제를 찾는 관객이라면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간으로 영화제와 관련한 정보 제공은 물론이고, 협력 단체인 ‘공익법센터 어필’과 ‘한국여성의전화’의 캠페인 부스가 마련될 예정이다.

실내에서 진행될 주요 부대프로그램으로는 인천문화재단과 함께 준비한 어린이 대상의 문화 예술 프로그램 ‘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와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함께 진행하는 생명을 살리는 ‘아우인형’ 만들기를 체험 프로그램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을 통해 진행된다.

한편 5월 27일,28일 양일간 인천관광공사 주관으로 진행하는 인천 개항장 밤마실 행사가 진행될 예정으로, 5월 말 인천 중구 개항장 일대가 영화와 음악 등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주관철 기자 jkc05271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도심하천특별위원회, 하천 명소화·친수공간 조성 위한 제2차 간담회 개최
  2. 원종민 천안시 서북구청장, 폭염 대응 무더위쉼터 점검
  3. 최병묵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장, 공직자 대상 청렴 특강 '호응'
  4. 한기대, 에티오피아서 직업기술교육훈련기관 세미나
  5. 천안법원, 보복운전하려다 추돌사고 일으킨 60대 남성 징역형
  1. 천안동남경찰서, 청소년 정책자문단 위촉식
  2. 천안시, 지역 특성 반영한 맞춤형 장애인 정책 수립 박차
  3. 세종시 '중앙공원', 독일의 정원 명소와 콜라보 가능성 확인
  4. 李대통령 해수부 산하기관까지 이전 지시…충청 초비상
  5. 정부 "의대생 복귀 수용, 추가 국시 검토… 학칙 따라 자율적 학사 운영”

헤드라인 뉴스


[대전 둔산지구의 미래를 그리다] 100년 미래도시를 위해 "모두 힘 합쳐야"

[대전 둔산지구의 미래를 그리다] 100년 미래도시를 위해 "모두 힘 합쳐야"

대전 둔산(屯山) 신도시가 30년을 넘기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이 마련되면서 둔산의 미래를 새롭게 그릴 기회가 열리면서다. 둔산은 과거 군부대가 다수 주둔하던 작은 군사도시에서 행정, 경제, 문화가 집약된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제는 대전의 '강남' 또는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지역의 상징적인 계획도시다. 하지만 둔산 신도시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와 기존 도시 계획의 한계를 마주한 게 현실이다. 도시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할 기회가 어렵게 찾아온 만큼, 단순 주거 재건축을 넘어 미래세..

李대통령 해수부 산하기관까지 이전 지시…충청 초비상
李대통령 해수부 산하기관까지 이전 지시…충청 초비상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더해 관련 국가 기관들의 이전까지 약속하면서 충청권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세종에 있는 해수부 산하기관 3곳도 본부와 함께 부산으로 내려가야 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론 처음 피력한 것인데 기관 연쇄 이전 현실화에 따른 직격탄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 25일 부산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타운홀미팅 간담회에서 해수부 관련 공공기관 부산 이전을 공식화했다. 이 대통령은 "해수부 산하기관, 관련 기업들, 공기업, 공기업 산하기관, 출자·출연기관이 부산으로 오도록 하겠다"고 언급하면서다. 그간..

"민생회복 지원금 시장 잡아라"... 대전 소상공인 소비자 유치전
"민생회복 지원금 시장 잡아라"... 대전 소상공인 소비자 유치전

대전 소상공인들이 민생회복 지원금 시장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저마다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며 간판을 내걸고 문자 메시지를 통해 홍보에 나서는 등 마케팅에 힘을 쏟는다. 27일 지역 소상공인 등에 따르면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업체들은 매출 증대를 위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역 상권 곳곳에는 저마다 유리문에 '소비쿠폰 가능' 안내문을 부착하며 고객 모시기에 한창이다. 전통시장과 미용실, 화장품, 패션 등 업계를 가리지 않고 매출 증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가게 문 앞에 홍보문구를 내거는가 하면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빵차 시즌2’ 머드축제장에서 0시축제 홍보 ‘대전빵차 시즌2’ 머드축제장에서 0시축제 홍보

  • ‘보령머드축제 재밌어요’ ‘보령머드축제 재밌어요’

  • ‘도심 속 물놀이장에서 더위 날려요’ ‘도심 속 물놀이장에서 더위 날려요’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