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하려면 세종시로 오라"… 기업과 일자리 증가세 주목

  • 정치/행정
  • 세종

"취업하려면 세종시로 오라"… 기업과 일자리 증가세 주목

  • 승인 2016-07-24 10:39
  • 신문게재 2016-07-24 2면
  • 세종=박병주 기자세종=박병주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 청사. 연합뉴스 제공.
▲ 세종특별자치시 청사. 연합뉴스 제공.

기업 입주 잇따르면서 상반기에만 매월 900여명 취직
지역 채용공고 전년대비 65.6% 급증… 전국 1위 기록



세종시가 자족기능 확보를 위해 대기업과 우량기업을 잇따라 유치하면서 신규 일자리 창출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상반기 채용공고는 지난해 대비 60% 이상 급증해 증가율이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미래 성장동력을 서서히 확보하는 모습이다.

24일 세종시가 발표한 지역 경제동향에 따르면 올 상반기(1~5월까지) 지역 내 신규 취업 건수는 월평균 895명으로 매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개발 2단계 원년의 해를 맞으면서 국내외 많은 기업이 세종에 입주하거나 계획하고 있어 취업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의 상반기 취업건수를 보면 지난 1월 562명에 불과했던 취업자 수는 2월 727명, 3월 826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었다. 4월엔 1123명으로 올해 처음으로 1000명을 넘어섰고, 5월에는 1160명이 일자리를 구했다.

행복도시 내 입주가 지속되면서 인구 증가에 따른 구직 건수도 늘고 있다.

지난 1월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는 1241명이었다. 2월 916명, 3월 1662명, 4월 1236명, 5월 1160명 등으로 매월 1240여명이 일자리를 찾고 있다. 지역 내 입주 시기와 맞물려 매월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수가 등락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도 세종에 터를 잡기 시작하면서 신규구인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월 기업들이 요구한 근로자 수는 937명이었지만, 2월 들어 매월 평균 1000명 이상의 근로자가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신규구인 인원은 1033명으로 전달대비 96명 늘었고, 3월 1221명, 4월 1134명, 5월 1645명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취직하려면 세종시로 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업들의 채용공고는 전국에서 최고를 달리고 있다.

지난 21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자사 사이트에 등록된 채용공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세종시의 채용공고가 전년대비 65.6%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ITㆍ정보통신 업종이 115.8% 증가했고, 미디어ㆍ광고ㆍ문화ㆍ예술 업종이 80.9% 늘었다. 제조ㆍ통신ㆍ화학ㆍ건설(62.6%), 서비스ㆍ교육ㆍ금융ㆍ유통(61.6%) 등 많은 업종도 60%를 상회해 전국 평균(22.0)보다 세배가량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지자체별로는 세종에 이어 강원도(38.4%), 서울(32.9%), 충남(23.4%), 경기(20.5%), 대전(20.3%) 등이 20% 이상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세종에서 구인ㆍ구직이 타지역보다 높은 것은 신도시 형성에 따른 인구 유입과 정부기관, 국채연구단지, 기업이전 등이 맞물리면서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잇따른 기업 유치로 다른 지역보다 구인ㆍ구직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분위기”라며 “자족기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국내외 기업을 유치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