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요는 삶의 축] 269. 고향의 강

  • 문화
  • 가요는 삶의 축

[가요는 삶의 축] 269. 고향의 강

올 추석의 궁구

  • 승인 2017-10-13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남상규
추석 당일에도 일을 해야 했다. 그래서 추석 전에 아산(온양온천)의 숙부님께 인사를 갔다. 준비한 선물을 드린 뒤 점심과 술을 함께 나눴다. 돌아오는 길엔 천안에 내려 입원중인 친구를 찾았다.

병원식사만으론 헛헛할 듯 싶어 치킨과 소주도 가방에 숨겨서 병원에 올라갔다. 그렇게 2차까지 마시니 전날의 야근이 복병으로 다가와 졸음을 독촉했다. "난 이만 가련다. 어서 쾌차하거라!"

친구는 다시금 졸다가 부산까지 가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천안역에서 오른 열차는 입석이었기에 서서 갔다. 조치원역에서 자리가 하나 났다. 주변을 살피니 앉으려는 사람이 없기에 성큼 궁둥이를 붙였다.

열차는 잠시 후 신탄진역의 초입인 대청호 다리를 건너는 소리로 요란했다. 개인적으로 여기가 나로선 '마(魔)의 다리'다. 목적지인 대전역에 다 왔다는 생각에 까무룩 잠이 들기 일쑤였다.



하지만 그런 뒤에 눈을 떠보면 길게는 부산역, 짧게는 동대구역 내지 김천역까지 닿기도 다반사였다. 이런 '고질병'을 잘 아는 병원의 친구가 마침맞게 전화를 해줬다. "어디냐?" "응, 얼추 다 왔어." "졸지 말고 잘 내려!" "그래, 고마워~"

어제 아산과 천안의 방문은 효도와 의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나름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효도를 가리키는 말로 반포지효(反哺之孝)가 널리 통용된다.

이는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이다. 한데 효도(孝道)를 뜻하는 부분에 있어 쉬 '반가움'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 까치가 아니라, 왜 하필이면 어둡고 음침하기까지 한 까마귀가 등장하는 걸까.

여기엔 다 까닭이 숨어있다. 우선 까마귀는 머리가 좋다. 호두를 까서 먹는 방법 역시 이 녀석들의 머리를 따라올 새들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딱딱한 호두를 차가 지나가는 도로에 던져놓고 달리는 차가 이를 밟기를 기다린다.

그런 후에 신호가 파란색으로 바뀌길 기다렸다가 그제야 횡단보도 위에 널브러진 호두를 주워 먹는다고 하니 참으로 영특하지 않은가! 따라서 "까마귀 고기를 먹었냐?" 따위의 기분 나쁜 비유는 이제라도 서둘러 고치고 볼 일이다.

'내가 어버이께 효도하면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한다. 내가 어버이께 효도하지 않는데, 자식이 어찌 나에게 효도하겠는가'라는 말이 있다. 또한 '친구는 제2의 재산이다'라는 명언 역시 허투루 볼 게 아니다. 2017 추석을 맞아 느껴본 나름의 어떤 궁구(窮究)였다.

"눈감으면 떠오르는 고향에 강 ~ 지금도 흘러가는 가슴 속에 강 ~ 아~아~아~ 오늘은 세월에 강도 흘러 ~ 진달래 곱게 피던 봄날에는 이 손을 잡던 그 사람 ~ 갈대가 흐느끼는 가을밤에 울리고 떠나가더니 ~ 눈감으면 떠오르는 고향의 강 ~"

남상규의 <고향에 강>이다. 천안과 온양온천은 영원한 내 노스탤지어(nostalgia)의 '강'이다.

홍경석 / <경비원 홍키호테> 저자 & <월간 오늘의 한국> 대전·충청 취재본부장

홍경석-인물-210
홍키호테-2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탈세 혐의' 타이어뱅크 김정규, 항소심도 징역 7년 구형
  2. 걸을 수 있는데 28년간 하지마비? 산재보험 부당수급 잇달아 적발
  3. 증산도 상생봉사단, 태백산서 자연정화.산불예방 캠페인 벌여
  4. 충남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5.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전 오피스텔 공급 절벽
  1.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2.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3.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4. 세종에선 고등학생들이 선거벽보에 담뱃불… 현재까지 3건 수사중
  5. 유성구,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 집중 발굴

헤드라인 뉴스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21대 대통령 선거를 10여 일 앞두고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첫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 결과가 반영된 조사에서 '1강 1중 1약' 흐름이 확인됐다는 평가 속 이 후보는 두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40% 중후반대 지지율로 우위를 점했다. 선거일까지 지금의 흐름이 굳어질지, 단일화 성사 등의 이벤트로 구도가 흔들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부동층 표심이 승부를 결정지을 변수로 꼽힌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권 지역 주민 다수는 다음 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지역 균형발전 과제로 '지역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최우선 꼽았다.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