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백색국가 한일전, 근거·명분·논리로 이기자

  • 오피니언
  • 사설

[사설]백색국가 한일전, 근거·명분·논리로 이기자

  • 승인 2019-09-04 16:26
  • 신문게재 2019-09-05 23면
  • 최충식 기자최충식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4일 공개한 일본 경제산업성의 의견에서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적반하장'이다. 우리가 일본을 백색국가(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하는 조치가 "근거 없는, 자의적인 보복조치"라는 궤변이 그렇다. 접수된 의견을 보면 잘못한 쪽에서 잘못 없는 쪽을 탓하며 사실을 여지없이 왜곡시킨다. 부당함을 숨기려는 일방적인 허튼소리만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이 부당하다는 지적에는 '정상적 수출관리제도' 뒤로 숨던 그들 아니던가.

거꾸로 일본은 한국에 대한 백색국가(현 그룹A) 제외에 대해서는 "경제보복이나 대항 조치가 아니라고 되풀이한다. 아베 오른팔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광장관 등이 연거푸 이중논리를 펴고 있다. 한일관계를 파국에 이르게 하고는 한일관계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가 아니라며 억지 쓰는 식이다. 부인한다고 보복이 아닌 것은 아니다. 원인 제공국이 일본이고 선제공격을 한 쪽도 일본이다. 보다 엄밀히 보면 보복보다 도발의 성격이 강하다.

우리 측의 정당한 맞대응을 자의적인 보복 조치로 규정한 일본 경제산업성 역시 한국에 대한 백색국가 배제는 보복이 아니라는 엉뚱한 반론을 폈다. 수출관리제도 운영 재검토 운운하며 우리가 할 말을 했다. 일본이 원칙을 어기고 우리는 어기지 않았다는 것 이상의 대응 논리가 필요할 것 같다. 출구 없는 경제전쟁을 벌이는 상대는 반이성과 억지를 스스럼없이 택한 전범국 일본이다.

국제무대에선 방어 차원의 자연보복일지라도 사정이 달라진다. 정당한 대응 조치임을 증명할 책임이 주어진다. 일본은 포토레지스트 1건 허가 등 국제무역기구(WTO)용 명분까지 축적하는 치밀함을 보인다. 일본이 어긋난 것, 동시에 우리도 자유무역 룰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것까지 입증 가능해야 한다. 일본이 걷는 길은 퇴행적 경제 민족주의이지만 논리에서도, 근거와 명분에서도 앞서야 일본을 이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3.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4. '날뛰는' 허위 폭발물 협박신고… 아산·광주·인천 등 학교 겨냥
  5. [홍석환의 3분 경영] 누구를 선택하는가?
  1.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공기업, 패션 디자인…다양한 진로를 고교부터 준비
  2. '내신 5등급제 첫 적용' 충청권 고1 1학기 학교성적 상승
  3. 천안시, 긴급차량 천안·아산 경계 넘어도 '끊김 없는 우선신호' 지원
  4. 지역과 상생하는 '빵의 도시 천안'…대한민국 대표 빵 축제로 도약
  5. 행정수도와 거리 먼 '세종경찰' 현주소...산적한 과제 확인

헤드라인 뉴스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2030년까지 국방 R&D, 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해 미래 국방을 위한 핵심기술과 무기체계를 확보하고 독자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역량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인 'ADEX 2025' 개회식 축사를 통해 “방위산업 4대 강국은 결코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이미 민간의 기술력과 발전 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방개혁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리함의 대명사로 불리는 편의점 수가 대전에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늘던 편의점 수가 줄어든 것은, 과포화 시장 구조와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상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폐점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현재 대전의 편의점 수는 1463곳으로, 1년 전(1470곳)보다 7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새 7곳이 감소한 건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매년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줄곧 늘던 편의점이 감소로 돌아서며 하락 국면을 맞는..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