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전 녹용 전속모델 방송인 송해, "건강식품으로 감기 잘 이겨내"

  • 문화
  • 건강/의료

구전 녹용 전속모델 방송인 송해, "건강식품으로 감기 잘 이겨내"

구전녹용, 매출 100억 달성 기념 2020 설 감사제 진행

  • 승인 2020-01-07 11:21
  • 봉원종 기자봉원종 기자
러시아산 원용(元茸)으로 만든 구전 녹용 전속모델인 방송인 송해에게 이번 설은 93번 째 맞이하는 설 명절이다. 최근 감기로 입원을 했던 그는 “나는 방송 활동이 천직이다. 현장을 누빌 때 너무 즐겁다 보니 이 나이에도 일 욕심이 과해 가볍게 감기가 걸렸다.”라며 “남들은 감기로 무슨 입원을 하냐고 하는데 이게 다 철저한 관리 차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휴식과 함께 잘 먹는 것에 신경을 쓰고 있다. 밥도 중요하지만 녹용 같은 건강식품 섭취도 중요하더라. 덕분에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편강한방연구소가 지난 2016년 출시한 구전 녹용은 러시아산 원용(元茸)으로 만든 건강식품이다. 첫 출시 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매출 100억을 달성했다. 

편강한방연구소 관계자는 “기본적인 홍보는 했지만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구전 녹용의 소문이 빠르게 퍼져 나간 덕분에 출시 3년 여 만에 매출 100억 원을 달성했다.”라며 “수익을 포기하고 철저하게 고객 보답을 위해 마련한 설 명절 감사제에 많은 분들이 혜택을 가져가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번 ‘매출 100억 달성 기념 2020 설 감사제’는 1월 1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감사제 기간에 구전 녹용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하면 ①3만원 상당의 포인트 및 쿠폰 지급 ②전 제품 구매 시 10% 할인 쿠폰 ③2박스 구매 시 기본 할인+10% 추가 할인 쿠폰 지급 ④어린이 제품 ‘구전 녹용 금지옥엽’ or ‘구전 녹용 당금아기’ 3박스 구매 시 1박스 증정 ⑤진심후기 작성 고객 50명에게 구전 녹용 10포 증정(11만원 상당)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구전 녹용 전 제품은 녹용 중에서도 귀한 팁이 포함 된 분골 및 상대, 중대, 하대 등 뿔 전체와 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 삽주, 복령, 감초, 황기, 산약, 황정, 맥문동, 맥아, 길경, 생강, 대추, 홍삼, 오미자 추출액, 아카시아 벌꿀 등 엄선된 국내산 천연재료만을 사용해 만들었다. 

특히 편강한방연구소의 ‘구전 녹용’ 전 제품은 편강탕으로 알려진 편강한의원(대표원장 서효석)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의사가 개발에 직접 참여해 눈길을 끈다.
JD_편강

편강한의원 서효석 대표원장은 “날씨가 추워지면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각 종 질병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라며 “좋은 음식과 더불어 건강식품 섭취를 통해 면역력에 신경을 써야 한다.”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2000여년 전에 저술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녹용은 음양의 기운을 조절하고 비장과 신장의 기운을 도와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하며 피의 흐름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또한 세계적인 우수 학술 논문 인용지수 SCOPUS급 저널인 JPBA(의학 및 생물의학 분석 저널)에 2014년 게재된 ‘Bioactive components of velvet antlers and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에는 ‘벨벳 사슴뿔의 면역 체계 기능 향상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녹용은 뉴질랜드산보다 러시아산이 훨씬 고가이다. 편강한방연구소가 조사 전문 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해 2018년 7월 3일부터 23일까지 주요 온•오프라인 243개 매장에서 총 453건의 나라별 녹용 판매 가격을 조사한 결과, 러시아산 녹용이 뉴질랜드산 녹용보다 100g당 약 42%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관세청 ‘나라별 녹용 수입 가격’ 자료에서도 러시아산 녹용이 뉴질랜드산 녹용 대비 kg당 약 62%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구전 녹용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녹용의 수입지인 러시아 아바이스크의 겨울은, 평균 영하 30~40도를 기록할 만큼 매섭다. 추운 날씨를 이겨낸 러시아 사슴에는 영양소와 에너지가 몸 전체와 뿔까지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첼라크 빅토르 러시아 아바이스크 농장 대표는 “이곳이 녹용 생산에 있어서 기후나 환경이 최적의 사슴 사육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총 6,000마리 정도의 사슴을 사육하고 있는데 어떠한 농장과도 비교할 수 없는 뛰어난 품질과 생산량을 자랑한다.”라며 “우리 농장에서 생장하는 사슴들은 모두 자유방목으로 산작약, 개밀 등의 천연 약초를 먹고 살며 최적의 녹용을 만들어 낸다.”라고 설명했다. 

구전 녹용 각 제품군은 연령대에 맞춰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꾸준한 사랑을 받는 가장 대표적인 제품 ‘구전 녹용’ ▶순하게 담아낸 ‘구전 녹용 순’ ▶유아의 건강과 성장을 돕는 ‘구전 녹용 당금아기’ ▶초등학교 자녀 입맛에 맞춘 ‘구전 녹용 금지옥엽’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휴대용 스틱형 제품 ‘구전 녹용 복세편살’ ▶고품격 제품으로 가장 깊고 진한 녹용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떠먹는 농축액 ‘구전 녹용 진’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해당 제품들은 구전녹용 홈페이지와 전국 편강도원 매장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섭취 방법은 유튜브에서 각 제품군의 제품명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봉원종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1.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2.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5. '제5회 SDGs 소셜벤처 챔피언십'서 목원대 학생 2팀 수상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