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백제문화제 격년제 절대 용납 못한다...공주시민들 반발

  • 전국
  • 공주시

[기자수첩]백제문화제 격년제 절대 용납 못한다...공주시민들 반발

  • 승인 2020-02-21 21:48
  • 박종구 기자박종구 기자
중도일보 박종구 국장
공주주재기자 박종구 국장.
"지역의 경제적 효과를 검토해 봤대요? 백제문화제가 공주경제를 상승시키기고 지역을 알리는 효자인데 왜 격년제를 치른대요?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지난 18일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이사회에서 2022년부터 격년제로 치른다고 합의된 내용이 공주시민들에게 알려지면서 쓴 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시민들은 백제문화제의 발굴과 전승으로 더욱 빛나게는 못 만들지언정 하던 것도 내 팽게치려는 행태가 한심스럽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시민들은 "매년 백제문화제가 끝나면 경제효과가 수백억원 나타냈다. 수십만의 인파가 몰려 다녀갔다는 등 홍보에 혈안이 됐었지 않았느냐"며 "모두가 치적 쌓기였느냐"고 목청을 높였다.



실제 공주시가 치른 백제문화제의 경우 지난 2018년 제 64회 백제문화제때 발생한 직접경제효과는 120억 9800만원이었고, 문화제를 방문한 방문객 수는 41만 3000여 명이, 2019년도 제 65회 백제문화제에는 53만의 관광객들이 공주를 찾아와 1인당 3만 5880원을 써 190억 4800만원의 지역경제 효과를 나타냈다고 분석자료를 내 놨다.

횟수를 거듭 할 때마다 지역경제 상승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음에도 불구, 격년제로 할 경우 행사가 치러지지 않는 해는 손실이 그만큼 큰 것은 강 건너불보 듯 뻔 한일로 시장은 무슨 생각으로 격년제를 주장하는 부여군 측에 손을 들어 준 것인지 모르겠다는 게 시민들은 의아해 하고 있다.

많은 시민들은 "도지사와 부여군수, 공주시장이 같은 당 소속 단체장이기 때문에 입을 맞춘 것 아니냐"며 "격년제로 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최소한 시민들의 의견을 물었어야 했다. 시민들의 의견을 묻지 않은 결정은 무효다"며 김정섭 시장에게 쓴소리를 토해내고 있다.

문제는 "공주시장이 이 같은 결정을 할 때까지 공주시 도의원들과 시의원들은 무었을 헸는가?"라며 "원상복구 되도록 앞장서 막아라"고 강도 높게 요구했다.

여기에 시민단체들까지 반발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어 김정섭 공주시장이 주장하는 소통행정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공주=박종구 기자 pjk00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