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공청회에는 양승조 국회의원과 구본영 천안시장을 비롯해 이기세 (사)구도심정비사업연합회 회장 등 민·관을 대표하는 300여 명의 관계자들이 모여 천안지역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천안시는 2008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지역 80개소를 정비 예정구역으로 지정했으나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부합되지 않은 일부 구역을 조정하는 과정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40여 개소를 대상으로 주택 정비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열린 공청회에서는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맞은 가운데 장인수 (사)구도심정비사업연합회 수석 부회장이 기조 발제를 통해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주택정비 사업 추진 방안'을 제언했으며 김덕례 주택산업엽구원 연구위원, 황종헌 (주) 국토 대표이사, 황천순 천안시 의원, 이용길 천안시 도시재생과장, 김영한 국토교통부 주택 정비과장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장인수 수석 부회장인 기조 발제를 통해 “40개 정비구역의 주택정비사업은 시가 주도하고 있는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와 연계된 민관 합동사업이다”며 “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시가 보유하고 있는 도시환경 정비기금을 활용하는 등 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008년 전국을 강타한 금융위기가 전국적으로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위축시켰지만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천안지역 주택 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꾸준히 매매가가 상승하고 있은 것으로 나타나 천안지역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충분히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성공한 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지자체의 적극적인 개입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시가 적극적으로 정비 구역 내 세입자의 파산문제나 주거이전, 조합원들 간의 갈등상황을 잘 해결해야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천안=김경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