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병원 로봇시대...부작용·의료사고 염려도

  • 문화
  • 건강/의료

대전병원 로봇시대...부작용·의료사고 염려도

시민 "시대변했지만 불안·염려 여전"
전문가 "안전·효율적 수술 입증"

  • 승인 2019-03-21 16:02
  • 신문게재 2019-03-22 5면
  • 박은환 기자박은환 기자
GettyImages-977976742
사진=게티이미지 제공
지역병원이 각종 로봇 장비를 도입하고 로봇 수술을 성공하고 있는 가운데 로봇 수술의 부작용, 의료사고 등에 대한 우려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건양대병원은 최첨단 4세대 로봇 수술 장비 '다빈치Xi' 등의 시스템을 갖추며 자궁경부암, 비뇨의학과 악성종양 등 광범위한 수술이 이뤄졌다. 최근 중부권 최초로 로봇 수술을 통해 선천성 담관 낭종을 치료하는 데도 성공했다.

충남대병원은 내년 개원예정인 세종충남대병원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의 기술이 융합된 정밀의료와 맞춤형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로봇수술은 섬세한 움직임이 있고 몸속 좁은 공간에서 가동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 미세한 조직의 정밀한 수술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완벽한 로봇이라고 해도 부작용이나 의료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시스템 오류 등으로 잘못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로봇 과열, 오류 등으로 인한 사고를 간과할 수 없다.

의료기술이 발달한 미국의 식약청에 보고된 로봇 수술로 인한 사망 등 의료사고 데이터를 살펴보면, 2000년~2013년까지 모두 1만 624건 중 1.4%인 114명의 환자가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작 실수, 에러 등으로 인한 상해 건수도 13.1%인 1391건에 달했다.

환자들도 걱정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지역 병원에서 만난 김모(52) 씨는 "사람 대신 로봇이 수술을 해준다고는 하지만 로봇이 사람의 모든 것을 대체하기는 어렵지 않느냐"며 "우리 세대는 아직도 전문 의사에게 수술을 받고 싶다고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로봇 수술은 찬성하지만 명확한 책임을 위해 블랙박스 도입을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또 다른 환자 이모(36) 씨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이 도입된 로봇 수술은 어느 정도 자리 잡았다고 생각이 들고 성공사례도 빈번해 거부감은 들지 않는다”며 “하지만 혹시 모를 사고로 책임 소재문제가 있을 수 있는 만큼, 블랙박스 등과 같은 카메라를 부착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 건양대병원 최인석 로봇수술센터장은 "간혹 로봇 수술을 로봇이 스스로 수술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실과 다르다"며 "수술 집도의는 외부 조정석에 앉아 3차원 입체영상으로 10배 확대된 수술 부위를 보면서 사람의 손보다 더 자유롭게 움직이는 로봇 팔을 조작해 수술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소 비싼 수술비용이 단점으로 꼽히지만, 현재까지 수술결과를 보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술로 입증됐고, 수술 분야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은환 기자 p0109972531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3.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4.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5.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1.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2. 취약계층 아동에게 희망과 용기 전하다
  3.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4.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5. [대전 특수학교대란 긴급진단] 갈 곳 없는 아이들, 2029년만 기다리는 대전교육청

헤드라인 뉴스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9월 11일 열린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은 3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후 70일 만에 열리는 두 번째 회견이다. 회견의 슬로건은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으로, 90분간 민생·경제와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세 분야로 진행하며, 150여 명의 내외신 기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은 이번 회견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정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