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고교 배구 명문 중앙고 3년 만에 부활

  • 스포츠
  • 배구

남자고교 배구 명문 중앙고 3년 만에 부활

"50여 년 간 지켜온 옛 명성 되찾겠다"
8월 전국 중고배구대회, 10월 전국체전 출전 '정조준'

  • 승인 2019-06-19 17:35
  • 신문게재 2019-06-20 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IMG_7641
50여 년 동안 남자고교 배구 명문으로 군림해온 대전 중앙고 배구부가 해체 후 3년 만에 부활했다.

대전 중앙고는 19일 오후 3시 중구 중촌동 본교 다목적 강당 2층에서 배구부 창단식을 가졌다.

2016년 3월 팀 해체 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듯 했지만, 교직원과 동창들의 배구단 재창단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원동력이 돼 결실을 맺었다.

선수 구성은 1학년 4명과 2학년 3명, 3학년 1명 등 총 8명이다. 단장은 정천복 교장이 맡고, 최원석 감독과 김희석 코치로 코칭스태프를 구성했다. 향후 4명의 선수를 더 보강해 12명으로 선수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중앙고 배구부는 1967년 첫 태동한 이후 역대 성적으로 명실공히 고교 최강자 중 한 팀으로 입증된다.

전국체육대회 등 전국규모 대회에서만 20여 차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준우승 11회, 3위 30회 등 놀라운 성적을 냈다.

이를 바탕으로 수많은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했다. 국가대표 '영원한 리베로' 여오현이 중앙고 출신이다. 불혹이 넘는 나이에도 현재 천안 현대캐피탈에서 현역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한 때 코트를 호령했던 레프트 이경수, 이인구, 신영수, 방신봉도 빼놓을 수 없다. KGC인삼공사 여자프로배구단 감독을 맡고 있는 서남원,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배구단 감독이자 여자배구 국가대표 수석코치를 역임한 어창선 등도 이 학교 동문이다.

IMG_7645
한국 배구를 풍미했던 선배들처럼 후배들도 옛 명성을 다시 찾는다는 각오다.

8월 중·고교배구대회 출전을 시작으로 3년 안에 전국대회 4강 안에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 감독은 "8월 CBS배 전국 중고배구대회와 10월 제100회 전국체전에 출전을 목표로 현재 체력과 조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며 "선배들이 이룬 옛 명성을 빠른 시간 안에 되찾아 배구 명문 전통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정천복 단장은 "배구부 창단은 침체된 대전 남자 배구의 부활과 지역 학교체육 선수수급 문제 등에 숨통을 터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선수발굴과 육성, 아낌없는 지원으로 과거 명성을 되찾는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창단식에는 설동호 대전시교육감과 문성원 대전시의회 부의장, 박일순 대전시체육회 사무처장, 이규만 대전시배구협회장, 신진식 프로배구 대전삼성화재 감독, 서남원 KGC인삼공사 프로배구단 감독, 여오현 등 중앙고 출신 배구 스타 등이 대거 참석해 창단을 축하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1.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2.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3.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5.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헤드라인 뉴스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9월 22일부터 지급할 예정인 제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고액 자산가를 제외하고 가구별 특성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사용처를 생활협동조합 등으로 확대하고, 군 장병이 근무지 인근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2일 국회에서 행안위 당정 협의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2차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 2021년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와 마찬가지로 가구별 건강보험료를..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에 필요한 비용이 32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6년 해양수산부 전체 예산안 7조 3279억 원의 약 4.4%를 차지한다. 예산 총액은 전년의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전국 지방자치단체 3곳 중 1곳이 기준금리(2.5%)보다 낮은 금리로 은행 금고에 여유자금을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과 세종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평균 이자율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 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43개 지자체 금고 예치금은 95조 9844억 원, 이자수입은 2조 8925억 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이자율은 2.87%로 기준금리 2.5%를 약간 웃돌았다. 그러나 79개 지자체는 여전히 기준금리에도 도달하지 못..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