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기의 행복찾기] 정리하는 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박광기의 행복찾기] 정리하는 일

박광기 대전대학교 대학원장, 정치외교학과 교수

  • 승인 2019-07-1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819935068
게티 이미지 뱅크
매일 아침 출근해서 연구실에 들어서면 늘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연구실에 쌓여 있는 각종의 서류와 학술잡지를 비롯해서 너무나 많은 잡동사니가 널려져 있어서 대대적인 정리를 해야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매일 정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정리를 하지 못하고 지낸지가 수년은 된 것 같습니다. 버릴 것은 버리고 또 한 곳에 모아둘 것은 모아두어야 하는데, 그냥 여기저기 쌓여있고 흩어져 있으니 어수선하기만 합니다. 그리고 이미 어수선한 것에 매일 또 다른 서류와 서적과 잡동사니가 더해져 연구실은 거의 포화상태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러나 원래 물건이나 서적 그리고 집동사니를 이렇게 치우거나 정리하지 않고 쌓아 놓는 습성이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매일 새로운 일이 생기고 그 일을 하다보면 사실 정리하거나 치울 시간이 없어 물건이나 서적을 하나 둘씩 쌓아두다 보니 이제는 더 이상 쌓아둘 곳조차 없게 되어 버린 것입니다.

그러나 쌓이는 것이 항상 나쁜 것은 아닙니다. 소중한 물건이나 취미로 모으는 어떤 물건이나 소장품들이 쌓이는 것은 기분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그런 물건들이 쌓이는 것을 보는 것은 정말 가치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사물이나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지식이 쌓이는 것은 누구나가 바라는 일입니다. 물론 돈이나 재물 그리고 명예 등이 쌓이는 것도 그렇습니다. 우리는 지식, 명예, 재물과 같은 가치 있는 것들을 쌓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고, 어떤 분들은 이런 것들을 쌓아가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기도 합니다. 그러나 연구실에 정리가 되지 않고 널려 있는 물건들이 쌓여 가는 것은 결코 기분 좋은 일이 아닙니다. 이런 물건들은 언젠가는 반드시 정리해서 버릴 것은 버리고, 보관해야 할 것들은 정돈해서 보관해야만 하는 것들입니다. 그러나 매일 아침 연구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마주치는 버리고 정리해야 할 것들을 보면서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막상 실행하기는 또한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를 해야 하는 것들이 연구실에 널려 있는 것들만이 아닙니다. 그 동안 살아 온 삶을 돌아보며 옳지 않은 것들은 물론이고 의미 없이 무심코 해 오던 나쁜 습성이나 악습도 정리하고 버려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동안 학생들과 함께 한 수업내용이나 연구한 결과들도 정리해서 발표해야 하고, 출근해서 커피를 마시면서 써 놓은 수많은 글들도 정리를 해야 합니다. 또 개인적으로 수년전부터 조금씩 준비했던 정년이후의 계획들을 실행하기 위해서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들을 모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버리고 정리할 것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정리를 시작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습니다. 우선 먼저 연구실에 쌓여가는 물건이나 서적들을 정리하는 것조차도 막상 출근해서 해야 할 일들을 하다보면 시간을 놓치고 지나가 버리니 말입니다.

어찌 보면 '정리를 한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용기와 결단이 없이는 정리해서 버릴 것을 골라내는 것조차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막상 정리를 하다보면, 정리하기 전에 버릴 것이라고 생각한 것도 아깝기도 하고 나중에 필요한 것 같아서 버리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이 후에 필요한 것 같아 모아 두어도 사실 그것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이 나중에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정말 쓸모없는 그리고 다시는 쓰지 않는 물건들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결국 쓸모없는 물건들만이 모인 박물관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버릴 것을 골라내서 버릴 수 있어야 하는데 버리지 못하는 것도 나쁜 습성입니다. 이런 습성부터 버려야 하는데 대부분 그 습성을 버릴 수 있는 용기나 결단이 없습니다.



버릴 것을 버릴 수 있는 용기나 결단은 다른 의미에서 보면 새로운 것을 시작할 수 있는 용기와 결단과도 같습니다. 비우고 버리고 정리하고 나면 새로운 것들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버리지 못하고 비우지 못하고 정리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정말 쓸모없고 하찮은 것들이 쌓여서 새로운 것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나 여유, 그리고 용기와 결단이 생기지 않습니다. 버리지 못하고 비우지 못하고 정리되지 않은 과거가 현실을 뒤덮고 새로운 미래를 바라보지 못하게 막아버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새로운 것들이 반드시 좋고 올바른 것이 될 수는 없습니다. 때로는 과거에 쌓아 놓은 것들을 기초로 해서 더 튼튼한 미래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기초가 되는 과거의 것들이 부실하고 버려야 하는 쓸모없는 것들로 채워져 있다면, 그 기초는 쉽게 무너져 버리게 될 것입니다.

요즘 '예전에는 이렇게 했는데……'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이번 학기가 시작되면서 맡은 학내 보직을 수행하면서 제도적으로 그리고 행정적인 변화를 시작했습니다. 물론 과거에 해왔던 일들이 잘못되었거나 오류가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일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변화가 필요할 경우에는 과거의 관행적 행위들에 대해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은 정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익숙하지 않은 이런 변화에 대해서 적응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변화 역시 시간이 지나고 나면 관행적인 행위로 되어서 또 다시 버려야 하고 정리해야할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다시 버려야 하는 것이 된다고 하더라도 지금 현재 버리고 정리할 것을 버리지 못하고 정리하지 못하면 우리는 결국 과거의 관행이라는 틀 속에 갇혀버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것을 찾고 효율적인 그리고 합리적인 생각과 일을 위해서는 과거의 관행적인 것들을 과감하게 버려야 하는 용기와 결단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정리를 해야 할 것은 정말 너무도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버릴 것을 버리고 정리해야 하는 것에는 용기와 결단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버리고 정리해야 할 것을 제때 하지 못하면 쌓이고 쌓여서 결국 버리지 못하고 정리하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도 없을 것입니다. 새로운 것은 비우고 버리고 정리해서 여유와 공간이 마련되어야만 가능하다는 평범한 진리를 우리는 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가끔은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변화를 위해서 반드시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은 정리를 해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망각하곤 합니다. 정말 무엇을 버리고 정리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실천에 옮겨야 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번 주말에는 정말 정리를 시작해야겠습니다.

행복한 주말되시길 기원합니다.

대전대학교 대학원장

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광기 올림

박광기교수-2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당진시, 신규 공무원 임용식 개최
  2. <인사>대전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