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광장의 의미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광장의 의미

  • 승인 2019-10-11 15:25
  • 신문게재 2019-10-11 22면
  • 유지은 기자유지은 기자
m
내가 다닌 대학교는 기독교 학교였다. 때문에 학교에서 가장 익숙한 장소를 꼽으라면 고민 없이 채플을 꼽았다. 학교의 정문을 통과했을 때 가장 먼저 만나는 것 역시 채플이었다. 학교생활의 시작과 끝인 입학식과 졸업식뿐 아니라 입학 면접 OT마저도 채플에서 열렸다. 교수 수련회를 하는 곳도, 아름다운 선율이 흐르는 콘서트와 가슴 찡한 공연도, 백년가약을 맺는 결혼식까지 모두 채플에서 열렸다. 학교의 온갖 대소사가 이뤄지는 곳. 그렇게 채플은 우리 학교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거쳐 가고 누구나 기억하는 일상 그 자체의 공간이었다.

그런 채플이 그 틀을 깨고 새로운 옷을 입은 사건이 있었다. 바로 새 총장을 선임할 때다. 지금은 무사히 자리에 올라 임무를 다하고 있지만, 당시엔 반대가 정말 심했다. 총장 본인에 대한 적격성 논란부터 독단적으로 총장을 선임하는 이사회의 태도까지 문제가 됐다. 학생들은 하루가 멀다하고 대자보를 붙였고 학생들이 모이는 곳 어디라면 총장 선임에 대한 토론의 장이 펼쳐졌다. 하지만 학교의 권위자들은 대답이 없었다. 결국 학생들은 밖으로 나왔고 모였다. 바로 채플에서!



채플 계단엔 검은 옷을 입은 학생들이 줄을 이었다. 학생들은 양손에 피켓을 든 채 침묵으로 시위에 나섰다. 총장 선임에 관한 학칙 개정을 위해 모두가 모인 곳 역시 채플이었다. 각자의 시간을 쪼개 모인 학생들은 현 학칙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내놓았다. 각자의 생각을 가감 없이 말하고 또 경청했다. 그건 분명 수년간 채플에서 오갔던 종류의 이야기들과 일들이 아니었다. 그 순간만큼은, 채플은 '광장'이었다.

2016년, 대한민국에도 광장이 생겼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촛불시위' 때문이다. 비선 실세 최순실의 국정 개입 의혹으로 불거진 시위는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시작돼 전국 190만 명의 시민이 참여한 헌정사상 최대 규모의 시위가 됐다. 그때도 광장은 각 지역의 사람들이 가장 익숙한 곳에 형성됐다. 서울은 광화문, 대전은 타임월드, 대구는 대구백화점, 광주는 518 광장, 부산은 서면역에서.



우리의 아직도 일상 속에서 광장을 만든다. 얼마 전 시작된 서초동 촛불시위가 그렇고, 그에 반대급부로 부상한 또 다른 광화문 촛불시위가 그렇다. 나는 그곳들을 잘 모른다. 하지만 그 장소가 누군가의 출근길이자 퇴근길이고 가족들, 친구들과의 추억을 이어온 일상이었음을 안다. 지나가는 버스 안에서 마주하기도, 핸드폰 속 사진첩에 저장돼 있을 풍경들 말이다.

때문에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자꾸만 일상을 깨는 이유를. 편안함과 익숙함으로 여전한 그곳에 투쟁의 색깔을 덧씌운 이유를. 광장이란 이름 아래 모여든 이유를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유지은 기자 yooje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