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9. 거수마룡(車水馬龍)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9. 거수마룡(車水馬龍)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24 17:5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이에 걸맞게(?) 춘하추동(春夏秋冬)처럼 사람 역시 십인십색(十人十色)이다. 그래서 누구는 봄을, 다른 사람은 여름 내지 가을, 심지어 겨울이 좋다는 이도 있다.

하지만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반기는 계절은 역시 봄이다. 봄은 사자성어에서도 쉬이 만날 수 있는데 먼저 사면춘풍(四面春風)이 돋보인다.



이는 사면이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떠한 경우라도 좋은 낯으로만 남을 대함을 이르는 말이다. 이어 양춘방래(陽春方來=따뜻한 봄이 바야흐로 온다)와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을 뜻하는 만화방창(萬化方暢)도 봄을 찬미하고 있다.

이와 대척점엔 두문불출(杜門不出)이 포진한다. 바야흐로 봄이 왔다. 말 그대로 '완연한 봄이 왔나봄'이다. 그러나 이 좋은 계절 봄이건만 나들이를 갈 수 없다. 여행도 마찬가지다.



코로나 사태가 드러낸 팬데믹 민낯에 우리나라 전역이 큰 시름의 먹구름에 덮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지금 이 시간에도 봄은 오고 있다.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도 있는 법이다. 코로나 사태도 분명 종착역이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 희망을 버리지 말자! 이런 관점과 맥락에서 봄이 완연히 도착한 대전천 인근의 둔치(물가의 언덕)와 천변(냇물의 주변)을 찾아 나들이 겸 운동을 했다.

목척교를 출발지로 하여 한남대교~한밭대교까지 약 1시간을 걸었다. 대전천에 닿기 전에 들른 조그만 간이공원엔 목련꽃이 반 이상 개화해 있었다. 물가의 능수버들 또한 봄기운이 솟는지 휘영청 한껏 기지개를 펴는 듯 보였다.

대전천에서 낚시삼매경에 빠진 사람들은 마치 세월을 초월한 듯 보여 부러웠다. 저만치서 달려오는 호남선 열차는 코로나 사태를 타개할 요량인지 그야말로 전광석화로 질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루미로 보이는 녀석은 물고기를 낚을 속셈에 물에 발을 담그고 있었으며, 그러거나 말거나 수정처럼 맑은 대전천은 합류지점인 갑천을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었다.

하늘을 날던 까치가 내려와 타는 목마름을 적시는 곁에는 자전거와 도로로 산책을 즐기는 시민들의 표정이 밝았다. 이윽고 한밭대교와 오정 농수산물도매시장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코로나 사태로 요즘 다들 어렵다는데 오정 농수산물도매시장의 상인 여러분들 역시 현 위기를 어찌 극복하고 계실까 싶어 마음이 짠하였다. 돌다리를 건너노라니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속담이 떠올랐다.

코로나의 위기를 교훈 삼아 다시는 이런 아픔이 없길 기도했다. 착용하면 갑갑하고, 구입하기조차 어려운 마스크는 이제 그만. '완연한 봄이 왔나봄!'을 누릴 수 있는 명실상부(名實相符)의 봄을 진정 소망했다.

지금의 두문불출과 개점휴업(開店休業)을 거둬내고 대신에 그 자리를 거수마룡(車水馬龍)이 들어서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거수마룡(車水馬龍) =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썩한 상황. 즉, 행렬이 성대(盛大)한 모양을 말함. 장사가 잘 되고 관광지에서 사람들이 많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함.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