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돌봄휴가제 대부분 직장인 활용 꺼려...회사 눈치 탓

  • 경제/과학
  • 기업/CEO

가족돌봄휴가제 대부분 직장인 활용 꺼려...회사 눈치 탓

자녀의 개학 연기 등 어쩔 수 없이 쓰는 휴가에도 회사선 눈치주기 일쑤
경제계 "코로나19 특수상황만큼 대화로 잘 해결해야"

  • 승인 2020-03-31 17:05
  • 신문게재 2020-04-01 6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2
사진=연합뉴스 제공
올해부터 ‘가족돌봄휴가제도’가 도입된 가운데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제도 활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따라 학교 개학연기 등으로 자녀 돌봄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지만, 회사 상사나 동료가 눈치를 주는 분위기가 여전한 탓이다.

31일 대전지방노동청에 따르면 '가족돌봄휴가'는 올해부터 도입된 제도로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차휴가와는 별개로 만 18세 이하 자녀를 돌봐야 할 일이 생기거나 가족이 질병 또는 사고를 당하면 매년 10일까지 쓸 수 있다.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전국 모든 보육시설, 유치원, 학교가 개학을 연기함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 지원 중인 '가족돌봄휴가' 긴급제도를 신청하는 인원도 증가하는 상황이다.



지난 26일까지 대전, 충남, 충북, 세종지역에서 가족돌봄휴가비 지원 신청한 건수는 3122건으로 집계됐다.

애초 무급 휴가였지만 코로나 사태가 터지고 지난달 말 정부가 1인당 하루 5만원씩, 최대 5일(25만원) 특별지원금을 주겠다고 발표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한 특수상황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업에서는 인력난으로 인해 '가족돌봄휴가'를 쓰는 것을 머뭇거리고 있다.

서구 둔산동의 한 회계법인에 다니고 있는 이 모씨는 "초등생 자녀가 개학 연기로 인해 돌봐줄 사람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쓰는 휴가에도 회사에선 '지금 다 같이 힘든데 너만 자식 있느냐'는 등의 핀잔만 들었다"며 "상사들이 대놓고 눈치 주기 일쑤라 돌봄휴가를 내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서구 가장동의 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서 모씨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 씨는 이달 중순부터 자녀 돌봄 상황이 여의치 않자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하기로 했다가 불이익이 있을 까봐 보류했다.

규정대로라면 회사는 경영상 중대한 사유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 재직자가 '가족돌봄휴가'를 신청하면 의무적으로 받아줘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으며 제재가 취해지지만, 현실에서는 직장 내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지역사회 시민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많이 예민한 상황이고, 회사 측에도 인력난으로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며 "회사 측과 고용자 간 입장 차이에 관해서는 심도 있는 대화 및 협의를 통해 조율해야 한다"고 전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호서대' 연극트랙', 국내 최대 구모 연극제서 3관왕
  2. 아산시, 민관협력 활성화 워크숍 개최
  3. 천안법원, 공모해 허위 거래하며 거액 편취한 일당 '징역형'
  4. 충청남도교육청평생교육원, 노인 대상 도서관 체험 수업 진행
  5. 엄소영 천안시의원, 부성1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관련 주민 소통 간담회 개최
  1. 상명대, 라오스서 국제개발협력 가치 실천
  2. 한기대 김태용 교수·서울대·생기원 '고효율 촉매기술' 개발
  3. 천안법원, 음주운전으로 승용차 들이받은 50대 남성 징역형
  4. 천안시의회 드론산업 활성화 연구모임, 세계드론연맹과 글로벌 비전 논의하다
  5.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행정수도와 국가균형발전 키워드를 주도해온 더불어민주당이 '해양수산부 이전' 추진 과정에서 강한 반발과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대선 득표율(49.4%)을 크게 뛰어넘는 60% 대를 넘어서고 있으나 유독 충청권에서만 하락세로 역주행 중이다. 지난 7일 발표된 리얼미터와 여론조사 꽃, 4일 공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은 호남과 인천경기, 서울, 강원, 제주권에 비해 크게 낮은 60%대로 내려앉거나 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2026년 충청권 지방선..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이 12일 유성문화원에서 '검찰개혁 시민콘서트'를 열어 당원·시민들과 함께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엔 황운하 시당위원장과 차규근·박은정 의원이 패널로 참여하고, 배수진 변호사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이들은 조국혁신당이 발의한 검찰개혁 5법 공소청법, 중대범죄수사청법, 수사절차법, 형사소송법 개정안·검찰독재 정치보복 진상규명과 피해회복을 위한 특별법 등의 내용과 국회 논의 상황, 향후 입법 일정·전망을 설명했다. 차규근 의원은 "수사절차법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통해 검찰의 무차별..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