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84% 찬성에도 '옛 성산교회 철거' 또다시 제동

  • 정치/행정
  • 대전

주민 84% 찬성에도 '옛 성산교회 철거' 또다시 제동

일부 시의원 "시 소유, 공론화로 결정" 주장
시의회 철거예산 1억9000만원 삭감

  • 승인 2020-06-03 17:14
  • 신문게재 2020-06-04 5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2019071101001210000050741
지난해 용두동과 은행선화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대전 중구 ‘옛 성산교회 건물’ 철거사업이 또다시 제동이 걸렸다.

인근 주민 투표에서 철거 찬성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결과가 나온지 1년이 다 됐으나, 최근 일부 시의원이 대전시 소유인 만큼 공론화를 통해 재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3일 대전시와 일부 시의원에 따르면 현재 '옛 성산교회' 건물 철거가 답보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해 7월 용두동과 은행선화동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철거하자’는 의견이 84.78%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에 시는 건물 철거 예산 약 1억 9000만 원을 예산으로 올렸지만, 시의회에서 결국 삭감됐다.

당시 시의회는 건물 철거 비용과 리모델링 예산이 동시에 올라와 있었기에 행정 절차상 오류로, 추후 리모델링 비용을 반납한 뒤 예산을 세워 처리해야 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올해 다시 예산을 세워 절차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대전시는 시의회 내부에서도 의견이 통일되지 않은 상황이라 존치와 철거 중 한쪽을 쉽게 추진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난해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철거를 진행하려고 했으나, 시의회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와 철거를 밀고 나갈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로는 옛 성산교회 건물 철거가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시의원은 설문조사 형식에 문제가 있고 해당 건물이 시 소유인 만큼 다시 한 번 공론화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옛 성산교회 건물은 1420㎡(지하 1층~지상 3층 ) 규모로 대전시가 약 17억 원을 들여 보상까지 마친 상태다.

오광영 시의원은 "설문조사 형식을 살펴보니 '존치'냐 '철거'냐 두 항목으로만 구성돼 있었다. '존치'라는 단어를 봤을 때 시민들이 느끼기엔 건물을 활용한다기보다는, 공실인 상태 그대로 방치한다는 느낌을 받게 했을 것"이라며 "또한 해당 건물은 대전시의 것이기에 인근 주민이 아닌 대전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철거할지 활용을 할지 다시 한 번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