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우리 삶에도 쉼표가 필요해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우리 삶에도 쉼표가 필요해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 승인 2020-06-15 13:45
  • 신문게재 2020-06-16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RUPI 사업단장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공원이나 저수지로, 혹은 호젓한 오솔길로 새벽 산책을 하노라면 언제부턴가 저 앞보다는 주로 발밑을 보고 걷게 된다. 맑은 날에는 개미가 신경 쓰이고, 부슬부슬 비 내리는 날에는 달팽이와 지렁이가 조심스럽다. 그래서 옛날에 스님들은 초봄이 되면 하찮은 벌레조차 무심코 밟았을 경우에도 죽지 않도록 푹신한 짚신을 신고 다녔다고 하지 않던가. 요즘 들어 진짜 공감이 간다.

똑똑. 내 안의 문을 두드린다. 어제 일로 아직도 성이 나 있는지 꼭꼭 닫은 마음의 문은 열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오래 세상을 산 현명한 어른들은 "그런 상처는 그냥 놔두면 안 된다"고 한다. 어쩌면 피가 난 상처보다 보이지 않는 마음의 상처가 더 깊고 위험하다. 인간은 누구나 이 세상에서 한없이 나약한 존재다. 이번에 여실히 보지 않았나. 단 하나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공포 속에 몰아넣고 완벽한 통제와 억압이 가능하다는 것을.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이 있다. 궁즉통(窮則通)의 정신이 필요하단 얘기다. 과거 연구원 시절에 근 1년 동안 연구과제가 풀리지 않아 엄청 스트레스를 받다가 한 달 정도 남기고 꿈에서 그 해결방법이 떠올라 무사히 과제를 마친 적이 있다. 이처럼 극단의 상황에 이르게 되면 도리어 해결할 방법이 생긴다. 밤이 어두울수록 새벽이 가까워지는 이치다. 결국 역경은 희망에 의해 극복되기 마련이다. 그러면 열심히 죽을 힘을 다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질까.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두 나무꾼 친구가 산에 올라갔다. 경쟁적으로 나무를 찍어 장작을 만들어갔다. 한 사람은 유달리 승부욕이 강했다. 그는 친구에게 지지 않으려고 잠시도 쉬지 않고 열심히 나무를 찍었다. 그러나 다른 친구는 50분간 일하고 10분 쉬는 식으로 숨을 돌려가며 일했다. 어느덧 산을 내려갈 시간이 되어 두 사람은 서로가 만든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그런데 예상과는 달리 쉬어가며 일한 친구가 더 많은 장작을 장만한 게 아닌가. 승부욕이 강한 친구는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투덜거렸다. "내가 더 열심히 했는데 왜 자네 것이 더 많단 말인가?" 그러자 다른 한 친구가 점잖게 설명했다. "나는 10분씩 쉴 때마다 도끼날을 갈았다네."



도끼날이 무디어지는 줄도 모르고 무작정 열심히만 한다고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때때로 더 많은 열매를 얻기 위해선 멈춤이 필요하고 짬을 내서 쉬는 휴식이 필요하다. 바쁨을 뜻하는 한자는 '망(忙)'을 사용하는데 조급하거나 겨를이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마음 심(心)에 망할 망(亡)이 더해져 마음이 바쁘면 망한다는 교훈이 담겨있다. 이에 반해 쉼을 뜻하는 한자는 '휴(休)'인데 사람 인(人)에 나무 목(木)이 더해진다. 그래서 휴가(休暇)는 사람이 나무가 우거진 한적한 곳에서 느긋하게 지내는 것을 뜻한다. 죽도록 일만 하지 말고 쉬엄쉬엄 쉬면서 몸과 마음을 재충전함이 어떨지.

우리는 일을 해야 먹고 살 수 있다. 그러나 단지 돈이 목적이 아닌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 물론 처음에는 돈이 필요해서 일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일 자체가 좋아서 일하게 된다. 그러다가 나중엔 더 많은 사람의 자유와 행복을 위해 일한다. 일하려면 우선 건강해야 한다. 운동은 건강을 위한 것이고, 건강은 일을 위한 것이다. 우리에게 많은 울림을 전해주는 100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는 "내게는 건강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건강은 일을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 지금껏 열심히 일한 게 건강해진 비결이 아니었을까?" 그분은 일을 사랑하는 것이 건강과 장수의 비결이라 말한다.

어떤 일이 닥치면 "나는 참 운도 없어"라고 한탄할 때가 많다. 운(運) 자를 보면 진을 치고 있는 군대가 짐을 꾸려 이동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승리를 향한 움직임이다. 이 세상에 정해진 운명은 없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사람들을 보면 그렇다. 그들에게 운명과 운은 이로운 쪽으로 옮겨야 할 기회일 뿐이다. 덫에 걸린 한국경제도 마찬가지다. 지금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놓은 코로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묘책이 필요한 때다.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