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서가]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나무는 나무를, 콩가루 수사단 등

  • 문화
  • 문화/출판

[한줄서가]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나무는 나무를, 콩가루 수사단 등

  • 승인 2020-07-08 17:51
  • 박새롬 기자박새롬 기자
생명의그물속자본주의
 갈무리 제공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제이슨 W. 무어 지음│김효진 옮김│갈무리



'세계생태론(World-Ecology)'의 주창자 제이슨 W. 무어의 대표작. 금융위기·기후위기 등 오늘날 지구적 격변의 원천을 '인간 자연을 비롯한 자연을 조직하는 방법으로서의 자본주의'라고 주장한다. 현대의 곤경을 이해하고 해방의 정치를 추구하려는 비판적 시각의 필독서다.



나무는나무를
 문학수첩 제공
나무는 나무를



이병일 지음│문학수첩

자연과 동물을 주요 시적 대상으로, 시인의 시선은 끊임없이 유동하면서도 침묵으로 일관하는 자연을 향한다. 삶의 이치를 말없이 견뎌 내는 자연에게서 존재의 고독을 발견하고, 자연과 공존하며 거기에 깃든 생명력을 포착해 그려 냈다.



아버지의첫노래
 도서출판바람꽃 제공
아버지의 첫 노래

이강원 지음│도서출판바람꽃

소설에서 죽음을 보살피는 바라지 가락은 '아버지의 노래'로 불린다. 시원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의 윗대부터 있어 온 가락은 주인공 가족의 불행과 이웃과의 갈등으로 중단되며 주인공을 방황하게 한다. 가락을 따라 이뤄지는 고통의 통과제의, 치유의 이야기다.



콩가루수사단
 스윙테일 제공
콩가루 수사단

주영하 지음│스윙테일

제3회 추미스 소설 공모전 금상 수상작. 콩가루라는 말처럼 절대 뭉쳐지지 않고 서로의 존재에 대해 불만만 가득한 가족이 기묘한 사건을 척척 해결해나가는 가운데, 누구도 알지 못했던 엄마의 비밀스러운 과거가 드러난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3.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