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투트랙 전략…文心은 과연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투트랙 전략…文心은 과연

대선공약 취임뒤 발언 '先 의사당 後 개헌' 일맥상통
與-국정과제協 국회회동 文대통령 메시지 임박했나

  • 승인 2020-07-29 17:00
  • 수정 2021-05-02 12:48
  • 신문게재 2020-07-30 1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0004700532_001_20200728190104084
행정수도 정국에서 국회 세종의사당을 우선 설치한 뒤 추후 개헌으로 완성하자는 투트랙 전략이 여당 내에서 힘 받고 있는 가운데 국정 최고 책임자 문재인 대통령 의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7년 조기 대선 공약과 취임 이후 세종시 행정수도와 관련된 발언으로 유추해 보면 문 대통령은 투트랙 전략에 상당 부분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충청권 공약 중 하나로 세종시에 국회 분원 설치를 내세웠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동의할 경우 개헌을 통해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옮기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대선 과정에서 개헌 여부를 장담할 수 없으니 현행법 개정으로 할 수 있는 것부터 이행한 뒤 국민 공감대를 얻으면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개헌 전 국회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세종의사당을 설치해 국정비효율 해소 등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세종시 기능을 강화한 뒤 개헌으로 국회와 청와대를 완전 이전하자는 '선(先) 의사당 후(後) 개헌' 투 트랙 전략과 일맥상통한 생각이다.

취임 뒤에도 문 대통령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2017년 5월 청와대 상춘재 여야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선 "행정수도는 세종시로 하고 싶다"고 밝혔고 야당 인사들도 이에 공감을 표했다.



비록 야당 반대로 무산되기는 했지만, 2018년 3월 국회에 제출한 개헌안 제3조 2항에는 '대한민국 수도는 법률로서 정한다'라는 수도조항을 삽입하며 행정수도 이전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같은해 12월 정부세종청사에선 주재한 첫 국무회의에선 "많은 공무원이 회의나 국회 출석을 위해 세종·서울을 오가며 시간을 허비하고 장관이 사무실 상주 시간이 적어 행정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고민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세종시에 청와대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를 촉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정치권 일각에선 민주당이 행정수도 이전 강공 드라이브를 거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회의나 국무회의 등을 통해 이와 관련한 언급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29일 국회에서 민주당 행정수도완성추진단이 9개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로 구성된 국정과제협의회와 간담회를 개최한 것을 두고 나오는 하마평이다.

문 대통령은 물론 청와대 역시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행정수도 이슈를 점화시킨 이후에도 관련 발언을 한 적 없다. 여야간 행정수도 논의 테이블조차 차려지지 않은 가운데 관련언급을 했을때 정치적 파장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당 TF와 대통령 자문위가 머리를 맞대면서 향후 국회 논의 과정과 여론 추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행정수도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는 모멘텀을 마련했다는 분석이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2.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3.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4.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5.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헤드라인 뉴스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일본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돗토리(鳥取)현의 철도회사 전무가 폐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을 찾아왔다. 인구가 감소 중으로 철도마저 폐지되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한국을 찾았다는 그는 윤희일 전 경향신문 도쿄특파원을 '관광대사'로 임명하고, 돗토리현 주민들에게 철도는 무척 소중하다며 지역 교류를 희망했다. 24일 오후 5시 30분 대전시 중구 베니키아호텔 대림 회의실에서는 야베 마사히코(矢部雅彦) 와카사철도 전무가 참석한 가운데 관광대사 위촉식이 개최됐다. 윤희일 전 경향신문 기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도마니아이면서, 일본 특..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