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하나시티즌 8일 개막 첫 유관중 홈경기

  • 스포츠
  • 대전시티즌

대전하나시티즌 8일 개막 첫 유관중 홈경기

  • 승인 2020-08-04 15:03
  • 수정 2021-05-03 08:59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대전하나시티즌)

코로나19로 연기됐던 K리그가 다시 열린다. 개막전을 미룬체 굳게 닫혀 있던 축구장의 문도 다시 열린다. 대전하나시티즌의 홈 구장인 대전월드컵경기장이 시즌 개막 후 처음으로 유관중 경기를 갖는다. 시민구단에서 기업구단으로 전환한 대전하나시티즌에게는 하나은행 이름으로 치르는 창단 첫 경기다. 대전은 사실상의 창단 첫 경기를 위해 수개월 전부터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이벤트를 뒤로 미뤄둔 상태다. 

시티즌은 오는 8일 (토) 오후 7시에 열리는 경남FC와의 경기에서 유관중 전환 후, 첫 홈경기를 갖는다. 방역 당국의 지침에 따라 당경기장 수용 인원의 10%에 한해 입장이 가능하다. 경기장 출입구도 지정된 곳으로 입장해야 한다. 서관(W석), 남관(S석) 1층과 동관(E석) 1층, 2층 좌석이 개방될 예정이며 원정석 북측(N석)은 운영하지 않는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물리적(사회적) 거리두기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관중석 간 전후좌우 2칸씩 이격을 실시한다. 육성응원도 금지된다. 경기장에 입장한 팬들은 이전 처럼 소리를 지르거나 응원가를 부르지 못한다. 야외 경기지만 관중들이 밀접해 있는 상황을 고려한 조치다. 개막던 붇위기를 이끌었던 서포터들의 북소리와 함성소리는 이번에는 들을 수 없다. 이는 K리그 경기장 외 KBO리그, 프로배구. KBL리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 제한조치다. 


코로나19 환자 발생시 개인 정보 확인 메뉴얼 따라 전 좌석은 온라인으로 예매되며 현장 매표소는 운영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개막전 당일에 진행됬던 남문광장 이벤트 역시 진행되지 않는다. 남문 매표소에서 축구 관람을 위해 길게 줄을 선 모습도 올해는 볼 수 없게 됐다. 



안전조치도 대폭 강화된다. 관람객들의 안전한 홈경기 관람을 위해 발열 검사 및 전자출입명부(QR)코드를 이용한 출입자 정보 확인 절차를 진행한다. 37.5 이상의 발열 등 유증상자 및 마스크 미착용자는 입장이 불가하다.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입퇴장시, 화장실, 매점 등에도 1m 거리 유지 표식이 부착된다.

경기 하루 전과 경기 당일 경기장 전체 방역을 실시하며 경기장 곳곳에 손 소독제 비치 등을 통해 관람객들의 위생안전 관리에도 심혈을 기울일 예정이다.



대전은 첫 유관중 홈경기인만큼 관람객들의 안전한 경기관람과 원활한 입장 및 경기 운영을 위해 일반 경기 운영시보다 2배 이상의 인력 배치를 통해 철저하게 대비할 계획이다. 대전하나시티즌 관계자는 "사실상의 창던 첫 홈경이를 맞이해 팬들에게 선보일 이벤트를 준비했으나 예상하지 못했던 이벤트를 보여드리지 못해 아쉬움을 감출수 없다"며 "흥행보다는 전국가적인 위기상황을 먼저 극복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시민들의 안전을 최선으로 하는데 집중하겠다"고 아쉬움을 달랬다. 

한편, 8월 8일 (토) 오후 7시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대전하나시티즌의 유관중 전환 이후 첫 홈경기 온라인 티켓 예매는 4일 (화) 오후 2시부터 인터파크(http://ticket.interpark.com)를 통해 가능하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