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회 대전미술대전 김영창씨 '먹감나무 3층장' 전체 대상 수상

  • 문화
  • 문화 일반

제32회 대전미술대전 김영창씨 '먹감나무 3층장' 전체 대상 수상

올해 코로나19 영향으로 1차 심사는 사진으로 진행
총 접수작 1777점, 젊은 작가 참여 등 250점 늘어

  • 승인 2020-08-06 17:06
  • 수정 2021-05-14 01:36
  • 신문게재 2020-08-07 8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82ced0e666142f01e6bc10c1637ff224_1596686232_419
제32회 대전시미술대전 전체 대상인 김영창 작가의 '먹감나무 3층장'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김영창 씨의 '먹감나무 3층장(전통공예)'이 제32회 대전광역시미술대전 대상으로 선정됐다.

올해 초 코로나19 지역 확산으로 작품 대면 접수와 심사, 전시 일정 조율이 어려워 사상 초유 반쪽 행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높았다. 그러나 섣부른 우려는 기우였음을 방증하듯 올해 작품 총 1777점이 접수됐다. 이는 예년보다 250점 늘어난 규모다.

코로나19로 심사 방식도 달라졌다. 기존 오프라인 대면 접수가 아닌 작품을 사진으로 제출했고, 1차 심사를 진행했다. 이후 2차 심사부터는 오프라인으로 작품을 보며 부문별로 세부 심사를 이어갔다.

김기태 대전미술대전 심사위원장은 "심사제도로는 처음으로 사진 심사를 했다.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 낯설기도 했으나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대회를 진행할 수 있었던 비결"이라고 소개했다.



김기태 심사위원장은 "심사 기간을 3번을 미루며 우여곡절이 많았는데, 다행히도 작품은 예년보다 250점이 더 늘었고 작품도 좋았다. 특히 젊은 작가들이 많이 참여했는데, 기존 회화 방식보다는 참신한 아이디어로 독특한 발상과 세련된 표현방식이 돋보이는 작품이 많았다"고 총평했다.

전체 대상은 김영창 씨의 먹감나무 3층장이다. 김영창 씨는 강원도 출신으로 2000년 대전시 무형문화재 소목장 후보로 지정된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다.

심사위원들은 "굉장히 우수한 작품이다. 비싼 재료기도 하고 구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한 장인정신이 느껴지는 작품이다. 전문가들이 봐도 월등히 훌륭하다는 평가였다"고 전해왔다.

김영창 씨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먹감나무는 겉으로는 표시가 안 나지만 나무를 잘라보면 먹이 들어간 듯 거뭇하게 되어 있다. 좋은 먹감나무를 구하게 돼서 대칭으로 배열해 안정감을 주고 조형미도 살렸다"며 "이번 작품은 전통목가구로 옛날부터 안방가구로 사용하던 종류다. 나무 기둥은 참죽나무, 내부는 오동나무를 사용했고, 나비 모양의 백동장석을 달았다"고 작품을 소개했다.

이어, "큰 상을 받게 돼 기쁘다. 평생 전통목가구를 재현하며 작품을 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올해 대전미술협회장으로 선출돼 미술대전 전람회장으로 대회를 이끈 라영태 회장은 "코로나19로 걱정이 많았으나 생각보다 접수가 많이 됐고 열기가 뜨거웠다. 또 올해 접수된 작품 대다수가 뛰어난 작품이 많아 수상작 선정에도 고심이 있었다"며 "수상작 전시는 오는 10일부터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진행된다"고 말했다.

부문 대상으로는 한국화 박혜지 '생성', 서예한문 구본현 '성경 시편구', 서양화 최우수 장민규 '여름중독', 수채화 최우수 '노금선', 전통미술 최우수 오승은 '화조도', 조소 최우수 차건우 '그래도 나아간다', 서예한문 최우수 김봉학 '맹호연시', 서예한글 최우수 이우영 '맹자 천강대임', 캘리 최우수 이경미 '한승희 님의 시 선인장', 문인화 최우수 박소현 '청송', 전각 최우수 김지영 '대교약졸'이 선정됐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10중 추돌사고… 16명 사상
  2.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3.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4.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5.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1.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2.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3. [대입+] 2026 수능도 ‘미적분·언어와 매체’ 유리… 5년째 선택과목 유불리 여전
  4.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돌입…한화볼파크 계약 행정 실효성 부족 도마 위
  5.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헤드라인 뉴스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에 녹조가 사라지지 않고 추동 수역에서는 11월 현재 오히려 한여름 수준의 '경계'단계가 유지 중으로, 지난 10년간 녹조 발생이 갈수록 악화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체에 가깝게 오랫동안 정체하는 대청호가 다른 상수원보다 수온상승과 가을 폭우 등의 기상이변에 더욱 취약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11월 7일 금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는 대청호 문의수역에서 이뤄지는 녹조 제거 활동을 공개하고 녹조발생 저감에 지역사회 협조를 요청했다. 이곳 문의수역은 7월 31일 조류경보제 중 관심 단계가 처음 발령됐고, 8월 7일 회남수역까..

강훈식 실장 ‘지자체 관사 증가·무분별한 지방공항 추진’ 제동
강훈식 실장 ‘지자체 관사 증가·무분별한 지방공항 추진’ 제동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10일 지방자치단체 관사 증가와 무분별한 지방공항 사업 추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강 실장이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지난주 종료된 국정감사와 관련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예산을 절감하는 데 기여할 정책 제안은 조속히 수용해주길 지시했다”고 안귀령 부대변인이 서명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강 실장은 농작업 도중 숨진 농업인이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의 3배가 넘는다는 점과 최근 5년간 지자체 관사가 140곳 이상이 늘고 1000억원이 넘는 세금이 사용됐다는 두 가지 사안을 예시로..

`AI워싱` 과장 광고 도마 위...소비자 혼란과 기업 신뢰성 위협
'AI워싱' 과장 광고 도마 위...소비자 혼란과 기업 신뢰성 위협

최근 AI 기술 발전에 따른 AI 기능 탑재 가전·전자제품이 증가하면서, 일부 기업이 AI 기능을 과장 광고하는 'AI워싱' 행위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이러한 AI워싱 의심 사례를 모니터링하고, 소비자 인식조사를 통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AI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그 수준이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AI 기능을 과장 광고하는 사례를 조사했다. 그 결과 국내 주요 오픈마켓에서 판매 중인 가전·전자제품 중 20건의 AI워싱 의심 사례를 발견했다. 이들 사례는 대부분 AI 기술로 보기 어려운 단순 센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