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석구 한밭대 교수가 연구실에서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 비대면으로 수상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밭대 제공) |
광개토대왕과 고국양왕의 무덤을 규범한 지역대학 교수가 '고구려 발해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밭대는 인문교양학부 공석구 교수(사진)가 지난 4일 (사)고구려발해학회가 주최한 '고구려발해학회 제74차 국내 학술대회'에서 '제7회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공 교수는 지난 2019년에 발표한 논문 '연꽃무늬와당으로 본 광개토왕릉 비정'(고구려발해연구, 64집)을 통해 고구려 왕릉에서 출토된 연꽃무늬와당을 비교·검토하고 왕릉의 주인을 연구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공 교수는 6엽 연꽃무늬와당이 8엽 연꽃무늬와당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는 점에 착안해 국내 도읍기 후반기에 조성된 3개 왕릉(천추총·태왕릉·장군총)의 주인을 추정하고, 그 결과 광개토왕의 아버지 고국양왕이 태왕릉에 묻히고, 광개토왕은 장군총에 잠들었음을 규명했다.
학술상 심사를 책임진 구난희 심사위원장은 "이번 심사에 우수한 논문이 많아 경합을 벌였지만, 공 교수의 논문이 논쟁적 주제를 치밀하게 다루었고, 고고학 발굴 성과의 활용 등 내적 완성도 역시 높아서 심사위원들의 협의를 거쳐 학술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은 고구려·발해를 비롯한 북방사 연구를 진흥하고 '고구려발해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제정됐으며, 이번 학술상은 지난 3년 동안(2018~2020년) KCI 등재 학술지인 '고구려발해연구'에 게재된 3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