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 아파트값 상승 꾸준… 언제까지 지속되나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대전·세종 아파트값 상승 꾸준… 언제까지 지속되나

아파트 공급 대폭 증가 대전 가격 안정화 예측
행정수도 기대감 세종은 매매가 지속 상승 전망

  • 승인 2021-01-17 18:22
  • 신문게재 2021-01-18 6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대전시
대전시
대전과 세종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 되고 있는 가운데, 이런 상승 추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지 관심이 집중된다.

부동산업계에선 대전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 집값 안정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 반면, 세종은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꾸준한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원장 김학규)이 올해 1월 2주(1월 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25% 상승, 전세 가격은 0.25% 상승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26%→0.26%)은 상승폭 유지, 서울(0.06%→0.07%)은 상승폭 확대, 지방(0.28%→0.25%)은 상승폭이 축소된 모습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울산(0.38%), 경기(0.36%), 인천(0.36%), 대전(0.36%), 부산(0.35%), 대구(0.33%), 강원(0.30%), 경북(0.28%), 세종(0.24%), 충남(0.23%), 제주(0.21%) 등은 상승했다.

특히 대전과 세종의 경우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대전은 지난해 12월부터 0.3%대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고, 세종은 상승폭이 다소 축소됐으나 오름세는 지속했다.

부동산 업계에선 대전의 경우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난 공급량으로 집값 안정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로 대전시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자료를 살펴보면, 대전지역에 오는 2023년까지 63개 단지 5만6334호, 2030년까지 총 12만호의 주택이 공급된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난 2만 8175세대가 공급된다. 가격 안정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세종시
세종시
세종 또한 지난해보다 증가한 총 7861가구가 공급된다. 대전은 공급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격 안정화에 대한 전망이 나오지만 세종은 상승세가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행정수도 이전을 기대하는 수요자들이 집값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고 있고 신축 아파트 등 주거 환경이 점차 갖춰지면서 인근 지역 인구를 계속 빨아들여 수요가 지속될 것이란 게 업계의 분석이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대전은 가격 안정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나 세종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대전의 인구유출이 지속되고 이 인구가 세종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여기에 집값 상승의 열기가 세종으로 옮겨붙어 수요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라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행정수도 완성이 가시화된다면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