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1726조 '역대 최대'... 부동산·주식 투자 영향

  • 경제/과학
  • 금융/증권

가계 빚 1726조 '역대 최대'... 부동산·주식 투자 영향

  • 승인 2021-02-23 16:27
  • 수정 2021-05-05 10:51
  • 신문게재 2021-02-24 6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20210223_153816

 

가계 대출이 역대 최대치다. 코로나19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들은 빚을 내서라도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투자처를 찾고 있다.

 

투자 열풍 속에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해 영혼까지 끌어모으는 '영끌족'. 공모주 청약과 가상화폐 열풍에 빚내서 투자하는 '빚투족'.

 

자영업자 등이 아닌 이들 대부분은 직장인과 학생이다. 가계 빚을 통해 위험 부담을 안고 투자에 나서고 있어 불안감 커지고 있어 정부와 관련 기관들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가계 빚이 1700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부동산과 주식 투자 열풍 등으로 대출수요가 급증한 탓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중 가계신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726조1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25조8000억 원(7.9%) 증가했다.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래 사상 최대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4분기 가계신용은 3분기 말(1681조8000억 원)보다 44조2000억 원(2.6%) 늘었다. 분기 증가액은 2016년 4분기(46조1000억 원), 2020년 3분기(44조6000억 원)에 이어 역대 세 번째를 나타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125조8000억원의 가계신용이 증가했다. 2016년(139조4000억원) 이후 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4분기 말 현재 잔액은 1630조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역시 사상 최대 수준이다. 4분기 증가액(44조5000억 원) 역시 2003년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많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910조6000억 원)은 4분기에만 20조2000억 원 늘어 증가 폭이 3분기(17조4000억 원)보다 더 커졌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719조5000억 원)도 4분기에 24조2000억 원이나 뛰었다.

지난해 4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95조9000억 원으로 전분기대비 2000억 원 감소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