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⑩] 충남 청년인구 추락 거듭... 주거·문화 선행 로드맵 나와야

  • 정치/행정
  • 충남/내포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⑩] 충남 청년인구 추락 거듭... 주거·문화 선행 로드맵 나와야

  • 승인 2021-09-29 17:15
  • 수정 2021-09-29 18:58
  • 신문게재 2021-09-30 4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

 

 

 

충남 청년인구 2018년부터 올 8월 현재 지속적 감소

전체 인구 중 청년 차지비율 매년 갈수록 쪼그라들어

청양 청년 비율 15.6%로 2018년보다 2.8%p 큰 감소세

청년 유출 막기 위해선 주거·문화 조화 이뤄져야 제안

 

 

충남 청년 인구가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최근 3년 새 15개 전 시·군 모든 지역에서 청년 인구가 주저앉고 있다. 청년 인구 감소는 곧 지역 소멸로 이어지는 만큼 일자리 제공 등의 단발적 정책이 아닌 문화와 주거 등이 선행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9일 중도일보가 행정안전부의 연령별 인구현황을 분석한 결과 충남의 만19~만39세 청년 인구는 올 8월 기준 52만 2079명으로 전체 인구(211만 8183명) 중 24.6%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 청년의 인구 기준은 지난해 말 충남 청년 기본 조례 전부 개정안에 따라 만 19세~만39세로 적용했다.

충남 청년 인구는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56만 2003명에서 2019년 55만 513명, 지난해 54만 4445명, 올 8월 기준 52만 2079명으로 3년 새 3만 9924명이 줄었다. 이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26.4%에서 2019년 25.9%, 지난해 25.1%로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지역 중 청양이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청양의 올 8월 기준 청년 비율은 15.6%로, 2018년보다 2.8%P(1210명) 하락한 4752명이다. 당진도 이 기간 4만 4278명에서 3만 9387명으로 4891명이 줄면서 4만명 대의 숫자가 붕괴했고, 청년 비율은 2.7%P 줄어든 23.6%로 집계됐다. 청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금산(15%)도 2.7%P(1780명) 하락한 7660명이다. 태안은 2.6%P(1893명) 줄어든 1만 118명(16.3%)으로 1만대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으며, 부여는 2.2%P(2055명) 줄어들어 1만 명대가 깨진 9887명(15.3%)이 됐다. 서천도 2.2%P(1592명) 하락한 7324명(14.3%), 부여는 9887명(15.3%)으로 2055명(2.2%P) 줄어 만 단위 숫자가 무너졌다.



이어 서천은 7324명(14.3%)으로 1592명, 공주는 2만 944명(20.2%)으로 3221명 각각 줄어 2.2%p씩 줄었다. 보령은 1만 9138(19.3%)명으로 2709명, 아산은 8만 8949명(27.6%)으로 4207명 감소해 각 2.1%p 하락했다. 홍성은 2만 590명(20.7%)으로 2256명(1.9%P), 예산은 1만 68명으로 5048명(1.9%P), 논산은 2만 2393명(19.4%)으로 3176명(1.8%P) 떨어졌다. 계룡은 1만 93명(23.3%)로 849명(1.7%P), 서산은 4만 2520명(24.1%)으로 2397명(1.6%P) 줄었다. 인구가 밀집된 천안의 경우 3년 새 청년 인구가 5640명 줄었으나, 청년 비율은 1.4%P 하락한 31.2%로 15개 시·군 중 1위를 차지했다. 청년이 줄어드는 데는 '직업'이 가장 큰 사유로 작용한다. 충남도가 지난해 말 발표한 '충남 청년통계 보고서'를 보면 2019년 11월 기준 15~39세 전출 청년인구 12만 84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출 사유로 33.9%가 '직업'을 가장 많이 꼽았다. 

 

직업에는 취업과 사업, 직장이전 등이 포함됐다. 전출 인구 중 30.2%가 거주하는 곳이 '경기도'로 집계됐다. 일자리 선택의 폭이 크고, 다양한 문화가 상대적으로 집약된 곳으로 젊은층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때문에 지역 청년들의 유출을 막기 위해선 단편적인 일자리 정책과 지원보다 청년을 위한 '주거'와 '문화'가 적절한 조합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명숙(민주·청양) 충남도의원은 "충남은 천안·아산을 제외하고는 청년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데, 청년의 문화와 주거가 먼저 해결해야 하고 일자리는 그다음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청년 정책은 일자리를 만들고, 월 얼마씩 지원해주는 등의 정책이 많았는데 청년이 어떤 문화를 원하는지 보고, 주거환경 조성을 통해 직장만 다니는 공간이 아닌 머무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내포=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2.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3. 지질자원연 창립 77주년, 새 슬로건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
  4.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5. 특구재단 16~17일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투자주간'
  1. 대전권 4년제 수시 경쟁률 상승… 한밭대·우송대 선전
  2. [홍석환의 3분 경영] 무능한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3. 폭우에 도로 잠기고 나무 쓰러져…당진서 알레르기 환자 긴급 이송
  4. 9월 무더위 계속…16일 충남 서해안 강우
  5.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헤드라인 뉴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이재명 새 정부가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사이에서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찬반 양측 모두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미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전 정부부터 반복되는 악순환이다. 실제 노무현 정부 당시에는 행복도시 내 '금강 친수보' 건립으로 추진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선 주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철거'란 상호 배치된 흐름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보'와 태생이 다르나 같은 성격으로 분류되면서다. 지방정부 역시 중립적이고 실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환경부가 밀어부치기식 정책 추진을 할..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건설 승인을 받지 않고 주택 통계에도 포함되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전국적으로 8만787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주택법을 피하면서 주민 복리시설이나 소방시설 등 엄격한 규제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데다, 정부의 주택통계 작성과정에서도 빠져 부실한 관리를 초래해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국토교통부로 받은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개인·법인 가동사업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모두 8만7876개의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신..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가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최대 900억원을 투입해 과일·한우 등 선물 세트를 최대 50% 할인하며, 전국에 2700여 곳의 직거래장터를 개설한다.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톤, 축산물 10만 8000톤, 수산물 1만 4000톤 등 17만 2000톤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