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26]명창 김창룡 한자 본명은 ‘金昌用’…예명은 ‘金昌龍’

[10년간의 취재 기록-26]명창 김창룡 한자 본명은 ‘金昌用’…예명은 ‘金昌龍’

‘호적(戶籍)’으로 본 판소리 명창 ‘김성옥 가문’의 내력은?
김성옥 아들 김정근 한자 본명도 “‘金定根→金正根’으로 써야”
김창룡 부인 ‘열녀 강선명’, “병든 남편, 자신의 다리 살을 떼어 먹여 살려”

  • 승인 2021-10-25 11:12
  • 수정 2021-10-25 13:40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26편_사진1김성옥일가전승계보_노재명작성
'김성옥 일가 중고제 판소리 전승 계보'…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관장이 김성옥 명창 가문의 호적등본, 현장 조사, 문헌 기록 등을 토대로 '김성옥 일가 중고제 판소리 전승 계보'를 정리했다. <국악음반박물관 제공>

우리나라 판소리 '제(制)'는 동편제·서편제·중고제로 나뉜다. 또 판소리 가문으로 본다면 동편제는 '송흥록 가문', 서편제는 '박유전 가문', 중고제는 '김성옥 가문'으로 분류된다. 한마디로 판소리가 하루 아침에 사라지고 판소리의 화석만 겨우 남아 뼈대를 맞춰야 한다면 판소리의 가장 중요한 척추 골격은 중고제의 김성옥 명창 가문일 것이다. 중고제의 고장인 충남지역은 김성옥 일가, 방만춘 일가, 심정순 일가 등이 '명가'를 형성하면서 판소리 대를 이어왔다. 특히 '김성옥 명창 일가'는 판소리를 거의 이루다시피한 명문가다. 김성옥은 아들 김정근에게 소리를 물려줬고, 김정근은 아들 김창룡과 김창진 명창에게 대를 물려줬다.

본보는 중고제 시리즈 '10년간의 취재 기록 25편'에서 김성옥 명창을 잠시 소개했다. 김성옥은 충남 논산 강경읍(1931년 4월 읍으로 승격) 출신이다. 김성옥은 조선 순조시대 인물이고, 강경읍에서 성장한 뒤 전북 익산 여산면으로 이거한다. 특히 김성옥은 판소리 장단 중 하나인 '진양조' 장단을 처음 발명했다. 김성옥의 진양조 소리를 송흥록·송광록 명창 형제가 듣고 영향을 받아 발전시켰다. 진양조는 느린 장단으로 매우 슬픈 소리를 할 때나, 진중하고 품위있는 대목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된다. 김성옥의 아들인 김정근도 논산 강경읍에서 태어났다.



노재명 판소리학자는 저서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서(2012년)'를 통해 김성옥 명창 가문의 호적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했다.

 

호적으로 본 김성옥 가문의 내력은 어떨까.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판소리 '뼈대의 축' 중심에 있는 김성옥 가문의 일부 한자 본명이 예명과 다르다는 점이다. 판소리의 역사책으로 불리는 '조선창극사' 94~95페이지를 보면 김정근 괄호 안에 김해 '김(金), 정할 '정(定)', 뿌리 '근(根)'자를 썼다. 그러나 조선창극사와 달리, 호적등본에는 김해 '김(金)', 바를 '정(正)', 뿌리 '근(根)'자로 표기돼 있다. '정'자의 한자가 다르게 표기됐는데 조선창극사는 예명, 호적등본은 본명이라고 여겨진다.  

 

26편_사진2김창룡적벽가음반_국악음반박물관소장
김성옥의 손자 김창룡 명창이 1926년에 녹음한 중고제 판소리 적벽가 '조자룡 활 쏘는 데' SP음반. 국악음반박물관에 의해 지금까지 단 1장 유일하게 발굴된 희귀음반인데 2018년 금간 채 발견됐다. 금이 가고 틈이 벌어진 부분을 노재명 관장이 1년간 촛농 등 물리적으로 채우고 재생해 디지털 복각 작업에 성공했다.음반은 김성옥 가문의 유서깊은 고형의 창법이 잘 담겨있다.<국악음반박물관 제공>

김성옥의 손자이자, 김정근의 아들인 김창룡 명창도 상황은 같다. 김창룡의 호적에 기록된 한자 이름은 김해 '김(金)', 창성할 '창(昌)', 쓸 '용(用)'인데, 음반과 문헌 등에는 '金昌龍(김창룡)'으로 돼 있다. 김창룡의 한자 본명은 '金昌用', 예명은 '金昌龍'이라고 판단된다.

김정근의 가족관계도 살펴봤는데, 모두 판소리 명창 또는 국악 관계자들로 구성돼 있다. 호적등본에 따르면 김정근은 1839년 6월 14일에 태어나서 1895년 3월 18일에 사망했다. 김정근 부인은 장정희다. 이 부부 사이에서 김영수(장남)와 김창룡(차남)이 태어났다. 장정희(張貞熙)는 김정근과 같은 해(1839년 11월 4일)에 태어나 1928년 4월 12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용호리 560번지에서 사망했다.



김정근의 차남인 김창룡은 1870년 11월 7일 태어나 1943년 2월 24일에 작고했다. 김창룡의 부인은 강선명(姜善明)인데, 1874년에 태어나 1942년 12월 7일에 타계했다. 강선명은 병든 남편 김창룡을 위해 자신의 다리 살을 떼어서 먹여 살렸다는 '열녀'인데 이들 부부는 1년 간격으로 별세했다. 이런 것으로 봐서 부부 금슬이 좋았던 것 같다. 강선명의 부친은 강원오(姜元五)다. 본관은 진주다. 강원오는 김창룡의 장인이다. 조선음률협회 총무가 강원삼인데, 김창룡의 장인인 강원오와 혈연 관계일 가능성이 있다.

김창룡의 형은 김영수(金永壽)다. 그는 1866년 3월 9일에 태어나 1937년 4월 15일에 별세했다. 김정근과 아들 김영수의 생장지, 즉 태어나서 자란 곳이 충남 홍성군 결성면 용호리 624번지로 돼 있다. 용호리는 김창룡의 장남 김시준(김세준·판소리 명창), 김시준의 장녀 김채손 등의 출생지다. 김창룡과 김시준이 이곳 집에서 살았다.

김창룡은 1904년 무렵,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92번지 등에서 살다가 서울시 봉익동 14에서 사망했다. 김창룡의 부인 강선명은 서울시 돈의동 120에서 작고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썰] 박범계, 검찰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득 or 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