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26]명창 김창룡 한자 본명은 ‘金昌用’…예명은 ‘金昌龍’

[10년간의 취재 기록-26]명창 김창룡 한자 본명은 ‘金昌用’…예명은 ‘金昌龍’

‘호적(戶籍)’으로 본 판소리 명창 ‘김성옥 가문’의 내력은?
김성옥 아들 김정근 한자 본명도 “‘金定根→金正根’으로 써야”
김창룡 부인 ‘열녀 강선명’, “병든 남편, 자신의 다리 살을 떼어 먹여 살려”

  • 승인 2021-10-25 11:12
  • 수정 2021-10-25 13:40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26편_사진1김성옥일가전승계보_노재명작성
'김성옥 일가 중고제 판소리 전승 계보'…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관장이 김성옥 명창 가문의 호적등본, 현장 조사, 문헌 기록 등을 토대로 '김성옥 일가 중고제 판소리 전승 계보'를 정리했다. <국악음반박물관 제공>

우리나라 판소리 '제(制)'는 동편제·서편제·중고제로 나뉜다. 또 판소리 가문으로 본다면 동편제는 '송흥록 가문', 서편제는 '박유전 가문', 중고제는 '김성옥 가문'으로 분류된다. 한마디로 판소리가 하루 아침에 사라지고 판소리의 화석만 겨우 남아 뼈대를 맞춰야 한다면 판소리의 가장 중요한 척추 골격은 중고제의 김성옥 명창 가문일 것이다. 중고제의 고장인 충남지역은 김성옥 일가, 방만춘 일가, 심정순 일가 등이 '명가'를 형성하면서 판소리 대를 이어왔다. 특히 '김성옥 명창 일가'는 판소리를 거의 이루다시피한 명문가다. 김성옥은 아들 김정근에게 소리를 물려줬고, 김정근은 아들 김창룡과 김창진 명창에게 대를 물려줬다.

본보는 중고제 시리즈 '10년간의 취재 기록 25편'에서 김성옥 명창을 잠시 소개했다. 김성옥은 충남 논산 강경읍(1931년 4월 읍으로 승격) 출신이다. 김성옥은 조선 순조시대 인물이고, 강경읍에서 성장한 뒤 전북 익산 여산면으로 이거한다. 특히 김성옥은 판소리 장단 중 하나인 '진양조' 장단을 처음 발명했다. 김성옥의 진양조 소리를 송흥록·송광록 명창 형제가 듣고 영향을 받아 발전시켰다. 진양조는 느린 장단으로 매우 슬픈 소리를 할 때나, 진중하고 품위있는 대목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된다. 김성옥의 아들인 김정근도 논산 강경읍에서 태어났다.

노재명 판소리학자는 저서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서(2012년)'를 통해 김성옥 명창 가문의 호적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했다.

 

호적으로 본 김성옥 가문의 내력은 어떨까.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판소리 '뼈대의 축' 중심에 있는 김성옥 가문의 일부 한자 본명이 예명과 다르다는 점이다. 판소리의 역사책으로 불리는 '조선창극사' 94~95페이지를 보면 김정근 괄호 안에 김해 '김(金), 정할 '정(定)', 뿌리 '근(根)'자를 썼다. 그러나 조선창극사와 달리, 호적등본에는 김해 '김(金)', 바를 '정(正)', 뿌리 '근(根)'자로 표기돼 있다. '정'자의 한자가 다르게 표기됐는데 조선창극사는 예명, 호적등본은 본명이라고 여겨진다.  

 

26편_사진2김창룡적벽가음반_국악음반박물관소장
김성옥의 손자 김창룡 명창이 1926년에 녹음한 중고제 판소리 적벽가 '조자룡 활 쏘는 데' SP음반. 국악음반박물관에 의해 지금까지 단 1장 유일하게 발굴된 희귀음반인데 2018년 금간 채 발견됐다. 금이 가고 틈이 벌어진 부분을 노재명 관장이 1년간 촛농 등 물리적으로 채우고 재생해 디지털 복각 작업에 성공했다.음반은 김성옥 가문의 유서깊은 고형의 창법이 잘 담겨있다.<국악음반박물관 제공>

김성옥의 손자이자, 김정근의 아들인 김창룡 명창도 상황은 같다. 김창룡의 호적에 기록된 한자 이름은 김해 '김(金)', 창성할 '창(昌)', 쓸 '용(用)'인데, 음반과 문헌 등에는 '金昌龍(김창룡)'으로 돼 있다. 김창룡의 한자 본명은 '金昌用', 예명은 '金昌龍'이라고 판단된다.

김정근의 가족관계도 살펴봤는데, 모두 판소리 명창 또는 국악 관계자들로 구성돼 있다. 호적등본에 따르면 김정근은 1839년 6월 14일에 태어나서 1895년 3월 18일에 사망했다. 김정근 부인은 장정희다. 이 부부 사이에서 김영수(장남)와 김창룡(차남)이 태어났다. 장정희(張貞熙)는 김정근과 같은 해(1839년 11월 4일)에 태어나 1928년 4월 12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용호리 560번지에서 사망했다.



김정근의 차남인 김창룡은 1870년 11월 7일 태어나 1943년 2월 24일에 작고했다. 김창룡의 부인은 강선명(姜善明)인데, 1874년에 태어나 1942년 12월 7일에 타계했다. 강선명은 병든 남편 김창룡을 위해 자신의 다리 살을 떼어서 먹여 살렸다는 '열녀'인데 이들 부부는 1년 간격으로 별세했다. 이런 것으로 봐서 부부 금슬이 좋았던 것 같다. 강선명의 부친은 강원오(姜元五)다. 본관은 진주다. 강원오는 김창룡의 장인이다. 조선음률협회 총무가 강원삼인데, 김창룡의 장인인 강원오와 혈연 관계일 가능성이 있다.

김창룡의 형은 김영수(金永壽)다. 그는 1866년 3월 9일에 태어나 1937년 4월 15일에 별세했다. 김정근과 아들 김영수의 생장지, 즉 태어나서 자란 곳이 충남 홍성군 결성면 용호리 624번지로 돼 있다. 용호리는 김창룡의 장남 김시준(김세준·판소리 명창), 김시준의 장녀 김채손 등의 출생지다. 김창룡과 김시준이 이곳 집에서 살았다.

김창룡은 1904년 무렵,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92번지 등에서 살다가 서울시 봉익동 14에서 사망했다. 김창룡의 부인 강선명은 서울시 돈의동 120에서 작고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4.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한은 기준금리 연 2.5%로 유지… 가계대출 불씨될까 판단한 듯
한은 기준금리 연 2.5%로 유지… 가계대출 불씨될까 판단한 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8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상반기에 달아오른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6·27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다소 주춤하지만, 여전히 서울 집값 상승세가 강한 만큼 섣불리 금리를 낮췄다가 부동산과 가계대출 불씨만 되살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과 시장은 금통위가 10월께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대출·집값 추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후 한·미 금리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미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