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승인 2021-12-02 14:21
  • 수정 2021-12-02 14:31
  • 신문게재 2021-12-03 10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컷-비건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는 '학대'

'좋아한다' 의미 되돌아봐야…

 

KakaoTalk_20211129_135556684
대전의 한 앵무새카페.


"식물을 좋아하는 마음을 앞세우기보다 식물과 그들이 속한 생태계의 안녕을 빌어주는 것, 그리고 그들의 행복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고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 과연 무엇이 식물이 행복해지는 길인지 묻고 그 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것."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작가는 책 '식물과 나'에서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식물을 무단채취하는 사례가 많다며 학습을 통해 '제대로' 좋아할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을 좋아하는 우리의 문화는 올바른 방법인지 묻고 싶다. 동물을 좋아한다며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에 그들을 가둬놓고 전시·유흥을 위해 소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앵무새 카페에 직접 방문해봤다. 앵무새들은 좁은 철장에 갇혀 있고 손님이 원할 때만 나올 수 있었다. 몸집이 제법 큰 한 커다란 앵무새는 부리로 종일 철장을 뜯고 있었다. 오픈 시각에 맞춰서 한 부자가 손을 잡고 앵무새 카페에 방문했다. 교육을 위해 자녀와 야생동물카페에 가는 부모들이 많다. 하지만 동물과 교감하는 방법보단 마음대로 소비하는 방법을 가르칠 뿐이다. 동물이 좁은 공간에 밀집 사육되고 인간과 접촉하며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하는 위험도 제기되고 있다.



KakaoTalk_20211129_135849684
대전의 한 동물원.
2018년 오월드에서 퓨마가 탈출하며 동물복지 문제가 제기됐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동물을 가둬놓고 소비하고 있었다. 오월드에서 동물이 탈출한 일은 퓨마뿐만이 아니다. 2002년 개원 당시 사바나 원숭이가 탈출했고, 2008년에는 열대지방에 사는 왈라루가 온실 사육장을 탈출해 인근 산에서 얼어 죽은 채 발견됐다. 같은 해에는 재규어가 탈출을 시도했다가 포획됐다. 동정여론은 잠시 어린 자녀와 함께한 가족들 다수가 동물원을 찾았다. 기자가 직접 동물원을 방문해보니 우리 안에 있는 일부 동물들은 무기력하게 누워있거나 좁은 공간에서 빙글빙글 돌고 있었다. 한 자리를 맴돌거나 같은 지점을 계속 왔다 갔다 하는 반복 행동, 자신의 배설물을 먹거나 털을 뽑는 등의 자기 학대 행위, 온 종일 누워서 잠만 자는 무기력한 행동은 동물원이라는 공간이 낳은 이상행동으로, '정형행동(stereotyped behaviour)'이라고 한다.

KakaoTalk_20211129_135617757
대전 신세계 백화점 아쿠아리움.
지난해 사람과 동물 모두가 행복한 동물원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주요 내용은 동물원 등록제를 허가제로 전환, 야생동물카페 등 전면금지, 질병·공중보건, 안전관리 체계 구축, 생물 다양성 보전·연구·교육 기관의 역할 강화, 동물 사육·수의 이력 전산화·공유, 국내외 협력 강화 및 거점동물원 구축·운영이다.

동물권 행동단체 카라는 "좁고 열악한 사육환경 뿐 아니라 스스로의 의지로 쉬거나 사람의 손길을 피할 공간조차 주어지지 않아 동물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라며 "이로 인해 정형행동이나 자해 등 정신적 질환을 보이는 개체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이라고 했다. 이어 "누구나 돈만 내면 생명을 내 마음대로 만지고 관찰할 수 있는 경험을 한 아이들이 생명을 존중하는 가치관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5.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