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 '스타트'… 본선 레이스 개막

  • 정치/행정
  • 6·1 지방선거

6·1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 '스타트'… 본선 레이스 개막

"내가 지역발전 적임자" 출마자들 줄줄이 등록
19일부터 공식 선거운동 돌입.. 선거 열기 후끈

  • 승인 2022-05-12 15:34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20502-1인7투표 홍보2
제8회 전국동시 지방선거를 한 달 앞둔 2일 대전시선관위 관계자들이 엑스포시민광장 원형잔디밭에서 1인7표를 비롯한 선거 홍보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6·1 지방선거 공식 후보 등록 첫날인 12일 출마자들이 일제히 등록을 마치면서 본선 출격 채비를 마쳤다.

지역발전을 이끌겠다는 후보들의 열의가 높고 지선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대전·충청 지방 권력을 놓고 더불어민주당이 수성, 국민의힘이 탈환을 목표로 총력전을 준비하면서 선거 열기가 더욱 달아오르고 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2일 만에 치러지는 첫 전국 선거로서 정국 향방을 좌우할 변곡점으로 꼽힌다. 지역 차원에서도 오랜 기간 지방 권력을 틀어쥔 민주당 정권에 대한 평가 성격이 강하다. 이런 이유로 민주당은 행정의 연속성을 내세워 지지를 호소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지방 권력 교체로 완벽한 정권교체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만큼 지방 권력의 정점에 있는 충청권 4개 시·도 양당 광역단체장 출마자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들은 각급 선거관리위원회를 일제히 찾아 공식 후보 등록을 마치고 필승을 각오했다.



2022050301000212900006792
(왼쪽 위)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국민의힘 김태흠 충남지사 후보. (왼쪽 아래) 더불어민주당 이춘희, 국민의힘 최민호 세종시장 후보. 더불어민주당 노영민, 국민의힘 김영환 충북지사 후보.
대전시장으론 민주당 허태정, 국민의힘 이장우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허 후보가 30분 일찍 등록을 마쳐 두 사람이 직접 마주치진 않았다.

허 후보는 "대전발전을 위한 참 일꾼을 뽑는 선거다. 그동안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묵묵히 성과를 만들어낸 허태정이 4년을 더해 이 사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호소했고, 이 후보는 "대전시민의 행정책임자가 된다는 무거운 책임감으로 후보 등록을 했다. 정권을 교체했듯이 무기력한 대전시정도 바꿔 새로운 진취적인 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시장은 민주당 이춘희, 국민의힘 최민호 후보 간 맞대결로, 두 사람은 "행정수도 완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는 "저는 세종시를 설계한 사람으로, 세종을 행정수도로 완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번 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는 물론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행복 1번지'로 만들겠다"고 했다. 최 후보는 "대한민국이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 윤석열 정부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세종시를 행정수도는 물론 미래 전략도시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충남은 민주당 양승조, 국민의힘 김태흠 후보가 맞붙는다. 양 후보는 등록 후 개소식을 열어 세몰이를 펼쳤고 김 후보는 공약발표로 맞받았다.

양 지사는 충남선관위서 후보 등록을 마친 뒤 천안 쌍용동 선거캠프에서 개소식을 열어 대규모 세몰이를 펼쳤다. 이 자리엔 이재명 중앙당 총괄선대위원장과 정세균·이낙연 상임고문 등이 참석해 힘을 실어줬다. 김 후보는 천안·아산 지역공약을 발표회에서 "민주당 충남 도정은 무능, 무책임, 무기력이다. 이제 충남은 새로운 도지사와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북은 민주당 노영민, 국민의힘 김영환 후보의 대결이 본궤도에 올랐다. 충북도 12년간 이어져 온 민주당 도정에 대한 평가가 최대 쟁점이다.

노 후보는 "충북은 수도권에 치이고 영호남에 치이고, 충청권에서도 대전·충남에 치여 서럽게 지내왔다. 오직 충북만을 생각하고 도민만을 바라보면서 뚜벅뚜벅 걸어가겠다. 결국은 진실이 승리할 것"이라고, 김 후보는 "오랜 기간 정치 경험을 통해 쌓아온 인맥과 정보 등 내가 가진 모든 것을 내 고향 충북발전을 위해 쏟아 붓고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