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기상천외한 목공 기계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기상천외한 목공 기계

  • 승인 2022-05-25 17:05
  • 신문게재 2022-05-26 9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가공은 쉽지만, 높은 강도 때문에 뛰어난 재료로 목재가 각광받고 있다. 이런 목제 제품을 만드는 사람을 목수, 목공 등으로 부른다. 목수는 목재라는 재료를 쉽고 빠르게 가공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계를 사용한다. 끌이나 톱과 같이 간단한 수공구부터 소리만 들어도 섬뜩한 대형 목공 기계까지 편의에 따라 장비를 갖춘다. 하지만 이런 무시무시한 기계는 단단한 목재를 손쉽게 자를 수 있듯 목수의 손가락도 눈 깜짝할 사이에 자를 수 있다. 이런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목공 기계와 주의사항을 모두 알아보자.

첫 번째,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쏘 스탑 테이블 쏘(Saw Stop Table Saw)다. 먼저 테이블 쏘는 손가락 절단 사고가 가장 많은 목공 기계다. 원형 형태의 톱이 테이블에 붙어 돌며, 자르려는 부재를 테이블에 놓고 밀어 재단한다. 커다란 판재나 두께가 작은 각재를 자르는 용도로 사용된다고 한다. 이 테이블 쏘는 미세한 전기 신호의 변화가 나타나면 톱 자체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테이블 안으로 들어가 손가락을 자르기 전 멈춘다고 한다. 다만, 수분이 많은 목재나 금속을 절단하는 경우에도 작동해 톱날이 카트리지에 박혀버린다면 톱과 카트리지값(약 20만 원)이 증발한다고 하니 사용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두 번째, 수압 대패(Jointer)라고 불리는 전동 목공 기계다. 제재목이나 휜 목재의 면을 평평하게 잡는 용도로 면과 모서리의 각을 잡는 용도로 사용된다. 대패 위에 부재를 놓고 손으로 눌러 밀게 되는데, 부재에 오는 압력을 버티지 못하는 경우, 부재가 원형으로 회전하는 날물에 갈려 나갈 수 있다고 한다. 평균 3~7마력의 힘으로 갈아버리기에 잘못 사용하는 경우 날아가는 부재(Kick back)에 맞아 죽을 수 있다고 한다. 목수는 이를 막기 위해 옆에 서서 손이 아닌 밀대로 눌러 사용해야 한다.

세 번째, 수압 대패와 함께 쓰는 자동 대패(Thickness planer)다. 자동 대패는 상부의 면을 잡아주는 기계로 원하는 두께로 가공하고, 면을 잡는 용도로 사용된다. 평균 0.5~2mm 두께로 가공하나 나무에 따라 10mm 이상을 한 번에 가공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기계도 수압 대패처럼 많은 양을 한 번에 가공하는 경우 나무에 가해지는 부하가 강해 부재를 넣은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다고 한다. 안전장치가 있다고 하지만 갈비뼈가 쉽게 부러질 정도라고 하니 사고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인테리어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며, 3m가 넘는 각재도 손쉽게 자를 수 있는 각도 절단기(Angle Cutter)다. 테이블 쏘와 다르게 위에서 원형으로 도는 톱날을 내려 아래에 있는 부재를 자르는 기계다. 톱날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큰 판재를 자를 수 없지만, 매우 긴 각재를 적절한 길이로 자르는데 매우 편리한 기계다. 비교적 안전한 기계라고 할 수 있지만, 너무 작은 부재를 자르거나 고정 면이 불안정한 부재를 자를 시 사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원형으로 도는 공구이기 때문에 이 기계 역시 쉽게 절단 사고가 나며,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공구다.

목수는 하나같이 안전한 목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적절한 기계를 선택해 정해진 방법대로 사용한다면 사고 위험이 줄겠지만, 그럼에도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매번 긴장한 채 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현대 과학 기술이 발전해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강력한 기계가 탄생하길 기대해본다.



아스니 하지마 아사아리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