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호] 2023년 계묘년(癸卯年) 신년운세

  • 문화
  • 문화 일반

[신년호] 2023년 계묘년(癸卯年) 신년운세

춘강 구홍덕 박사

  • 승인 2023-01-01 09:30
  • 수정 2023-01-01 11:56
  • 신문게재 2022-12-26 7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춘강구홍덕
춘강 구홍덕 박사
올해는 '토끼띠'해다. 계묘년(癸卯年)에 태어난 사람은 성품이 유순하고 급할 때는 물불을 가리지 않으나 곧 풀어진다. 재주와 꾀로서 집안을 일으키고, 인내력도 뛰어나며, 잘못을 알면 바로 고치는 습성도 지녔다.

십이지 가운데 4번째 동물 '묘(卯)'이며, 음양오행 상 음(陰)과 목성(木性)에 들어 있으며, 음력으로는 2월, 시간은 오전 5시부터 7시 사이다. 음력 2월은 농사가 시작되는 달이고, 농부들이 논밭으로 나가는 '묘시(卯時)'는 성장과 풍요를 상징한다. 방위로는 '정동 쪽'을 의미한다.

우리 조상들은 토끼가 주는 순결함과 평화로움 때문에 일찍이 토끼를 이상향에 사는 동물로 인식했다. 선인들은 이상향으로 달을 그렸고, 그 이상향에는 계수나무와 함께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는 것으로 표현했다. 우리 전통 민속화에서 해(日)는 발이 셋 달린 까마귀로, 달(月)은 토끼로 표현되는데, 토끼는 달이 없이는 못 살고, 암토끼는 수컷이 없어도 달과 교합해 새끼를 낳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토끼는 어두운 밤 달나라에서 방아 찧을 수 있을 만큼 눈이 밝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토끼 눈을 '명시(明視)'라고도 했다.

옛 조상들은 토끼 날로 일컫는 '상묘일(上卯日)'은 '톳날구기(兎-拘忌)'로 다른 여자가 자기 집에 와서 오줌을 누면 좋지 않다고 여겨 여자들은 바깥나들이를 삼갔으며, 아침에 남자가 대문을 열어야 일 년 내내 집안이 편안하다고 여겼으며, 토끼 날 실을 짜거나 옷을 지으면 무병장수한다고 믿었다.



2023년 계묘년은 납음오행(納音五行)으로는 양류목(楊柳木)에 해당해 목(木)이 득세(得勢)할 운이다. 수출 등 무역 경기가 지난해보다 더 힘들어 국민 경제가 최악으로 치달을 수 있다. 남북 관계는 우리나라와의 유화정책을 원하는 북한의 의지에 평화시대가 예상되지만, 동북부 해상에서의 도발이 한 차례 감지돼 긴장을 놓아서는 안 될 것이다.

국내 상황은 여름철 무더위가 기승을 부려 힘들겠으나 강수량이 적당해 농사는 풍작을 이룰 것이며, 강추위가 지속해 겨울철 겨냥 사업은 호황을 누릴 전망이다. 북동부 산간지역에서의 대형 산불에 대비해야 하며, 일본 북동부 지역과 아시아 남서부 지역에서는 지진과 화산 폭발이 예상돼 주의를 요구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 산간지역은 냉해를 입을 것이며, 태풍피해는 두 번 정도 전남과 경남 지역을 강타해 피해를 볼 전망이다.

올해 닭띠 해에 태어난 사람과 음력 8월에 태어난 사람은 교통사고를 비롯해 간장 계통과 폐, 호흡기 계통을 조심해야 한다. 술이나 극심한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여름에 태어난 사람은 수족 골절상과 디스크 등을 주의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계묘년은 왕들과 유명인사들이 많이 죽은 해다. 왕이 붕어한 것과 같이 정치적으로 많은 혼란이 예상되며, 당쟁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올해 재계와 정치계의 큰 별들이 몇 개 떨어질 운세로 점쳐진다.

토끼는 깨끗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공예품에 많이 그려지고 새겨졌다. 국보 제95호 청자칠보투각향로의 받침이 토끼상이고, 연적으로도 토끼상을 많이 썼음을 볼 수 있다. 토끼 꿈은 두 가지로 해몽하는데, 앞발이 짧아서 오르막을 잘 올라가서 토끼 꿈을 승진에 비유하기도, 토끼의 입은 윗입술이 세로로 찢어져 있어 태몽으로 꾸면 언청이 자식을 낳는다고도 했다. 악몽을 꾸었을 때는 소금을 대문간에 집어넣거나 문밖에다 세 번 뿌리면 악몽이 무효가 된다고 여겼다.

올해는 정치, 경제, 사회 등 전반에 걸쳐 힘들게 되는 암울한 한 해가 되리라 전망한다. 하지만 '토영삼굴(兎營三窟)'이라는 고사성어처럼 토끼는 자기가 위험할 때를 대비해 굴을 세 개를 뚫어놓는다는 영리한 동물이니만큼, 토끼와 같은 지혜로 난국을 슬기롭게 이겨 나가길 바란다.

▲춘강 구홍덕 박사는

-구박사인생클리닉 원장

-한국정통역학연구원장

-한국정통작명연구원장

-한국정통명리학회 이사장

-한국철학대학평생교육원장

-광주인력개발원 초빙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박현경골프아카데미]성심당 튀소 깔고 쳤는데 홀인원! 골프장 주인 프로도 처음이라 당황
  2. 대전신용보증재단, 대덕지점 개점식 개최
  3. 경찰 내부 자료인데…대전 교제살인 피의자 신상정보 온라인 유포
  4. 세종시, 8월부터 청년 근로자에 교통비 쏜다
  5. "중단 진료 재개"…총파업 건양대병원·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사 합의
  1. 또 교제폭력… 전 연인 폭행하고 달아난 20대, 세종서 붙잡혀
  2. 한화이글스, 독서 캠페인 '함께 읽는 여름의 한 권' 진행
  3. 천안의료원, 사별가족모임 개최
  4. 유성구의회 ‘2025 청소년의회 해단식'
  5. 천안시, 집중호우 피해 하천 신속 복구 총력전

헤드라인 뉴스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와 국립공주대가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해 '대학본부 차원의 실무 간담회'와 '직원 인사 방침에 대한 공식 합의'를 연이어 진행했다. 양 대학은 8월 1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 컨벤션홀에서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한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를 열고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부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교무처·학생처·기획처·연구처를 비롯해 국제교류본부·대학원·대외협력본부 등 양 대학 본부 소속의 처장과 부처장, 팀장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초광역 대학 통합, 초연결..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