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 대대적 합동 안전점검 실시

  • 사회/교육

늘어나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 대대적 합동 안전점검 실시

대전 803대 등 전국 3만 대 통학차량 보유
5년간 교통사고 매년 늘어… 대전 부상 2건
18일 사회관계장관회의서 안전점검 계획 의결
학생 건강검진 제도개선 2차 시범사업 추진도

  • 승인 2025-03-18 18:31
  • 신문게재 2025-03-19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318182831
중도일보DB
정부가 어린이 안전을 위해 범부처 합동 어린이 통학버스 합동 안전점검에 나선다. 사고가 끊이지 않고 앞으로 통학버스 이용 증가가 예상되면서 점검을 통해 고삐를 조일 예정이다.

교육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2025년 어린이 통학버스 합동 안전점검 계획을 상정·의결했다고 밝혔다.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45일간 교육부 주관으로 이뤄지는 이번 합동 안전점검은 그동안 연간 2회에 걸쳐 이뤄진 점검에도 불구하고 관련 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데 따라 마련됐다. 앞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방과후과정 확대와 시간연장 돌봄 활성화, 초등 늘봄과정 확대 등 통학버스 이용률 증가에 대비해 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사고는 총 83건이다. 2022년 1명이 사망하고 5년간 총 179명이 부상을 입었다. 부상 통계는 2019년 33건에서 감소세를 보이다 2022년 44건, 2023년 64건으로 늘고 있다.



이중 대전에서 일어난 사고는 2020년과 2023년 1건씩 총 2건이다.

영유아 교통사고 보상도 늘고 있다. 2020년 23건에서 2022년 26건, 2023년 28건, 2024년 54건으로 증가했다.

2024년 말 기준 전국 점검대상 기관 통학차량은 총 2만 2578개 기관 총 3만 33대다. 대전은 어린이집 379대, 유치원 326대, 초등학교 59대, 특수학교 39대 등 총 803대다. 충남은 어린이집 964대, 유치원 356대, 초등학교 407대, 특수학교 44대 등 총 1771대, 세종은 어린이집 77대, 유치원 25대, 초등학교 35대, 특수학교 8대 등 145대다. 다만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폐원 등 이유로 수시로 수치가 변경된다.

점검에선 관련 법규에 따라 통학버스 운영자와 운전자의 조치 이행 사항과 통학버스 안전교육 이수 여부 등을 18개 항목을 살핀다. 통학버스 신고 여부를 비롯해 요건 구비 현황, 안전운행기록, 거점형 늘봄센터 통학버스 운영 실태 점검 등이 이뤄진다.

특히 앞선 점검에서 지적된 차량은 시정 여부를 확인하고 미시정한 차량에 대해선 행정조치가 내려진다.

어린이집은 지자체와 경찰,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점검반을 구성하며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는 지자체 대신 교육청이 주관해 점검반을 꾸린다.

이날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선 학생 건강검진 제도개선 2차 시범지역 추진계획 안건도 의결됐다.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 세종과 강원 원주 지역 학교 대상 1차 시범사업을 추진한 데 이어 2차 시범사업으로 4월부터 12월까지 강원 횡성 지역 228개 학교 3만 4000명을 추가해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이 사업은 학생 건강을 위해 학생이 원하는 국가건강검진 지정기관에 방문해 검진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시범운영을 통해 향후 전국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밖에도 앞으로 5년간 식생활교육 추진 방향을 담고 있는 농식품부 주관 제4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과 발명교육을 초등 교육과정에 접목·확산하는 특허청 주관 초등학교 발명교육 확산 추진 방안도 의결됐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