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설교가 끝나고 난 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설교가 끝나고 난 뒤

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 승인 2025-08-25 11:26
  • 신문게재 2025-08-26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독일 민담시집 어린이의 이상한 뿔피리에는 독특한 이야기가 하나 실려 있다. 제목은 '물고기에게 설교하는 파도바의 성 안토니우스'이다.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제자였던 안토니우스는 어느 날 설교를 준비해 교회로 나갔지만, 정작 교회는 텅 비어 있었다.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길이 막히자 그는 강가로 나가 물고기들에게 설교했다. 뱀장어, 잉어, 게, 창꼬치 등 갖가지 물고기들이 고개를 내밀고 그의 설교를 열심히 들었다. 물고기들은 마치 은혜 받은 듯 즐거워 보였지만, 이야기는 이렇게 끝난다.

"설교가 끝난 후, 물고기들은 각자의 자리로 돌아갔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없었다. 창꼬치는 여전히 도둑질을 했고, 뱀장어는 여전히 호색하고, 게는 여전히 굼뜨고, 대구는 여전히 탐욕스럽고, 잉어는 여전히 게걸스럽게 먹었다."

이것은 단순한 해학이 아니다. 말씀을 듣고도 변하지 않는 인간의 모습을 정확히 묘사한 풍자다. 성경에도 이와 비슷한 장면들이 있다. 사도행전 2장에서 베드로는 성령이 임한 후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설교를 했다. 그 말씀을 들은 사람들은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며 마음에 찔려 회개했고, 그날만 무려 삼천 명이 세례를 받았다. 설교 한 번으로 영원한 운명이 바뀌고, 공동체의 관계와 삶의 방향까지 변한 것이다.



반면, 사도행전 7장에서 스데반의 설교를 들은 사람들은 마음에 찔렸지만, 회개 대신 이를 갈았다. 분노는 행동으로 이어져, 결국 하나님의 사람을 돌로 쳐 죽였다. 같은 복음을 선포했는데 왜 결과가 이렇게 달랐을까? 설교자가 다른 것도, 본문의 주제가 다른 것도 아니다. 차이는 오직 듣는 사람들의 '마음을 여는 태도'였다.

진리의 말씀이 내 가치관과 부딪히면, 어떤 이는 하나님 앞에 무릎 꿇지만, 어떤 이는 마음을 닫고 대적의 길로 간다. 작은 일에 순종하지 않는 것은 단순히 소극적인 불순종에 머물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면 그것이 굳어져 하나님을 노골적으로 거스르는 적극적인 죄가 된다. 반대로, '서로 사랑하라'는 말씀을 듣고 작게라도 실천하면 그 사람의 인생은 조금씩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으로 변화된다.

오늘 본문에서, 모든 청중이 설교를 듣고 이를 갈 때 단 한 사람만이 성령 충만했다. 그 사람이 바로 스데반이다. 어떻게 하면 설교 후 성령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예수님은 누가복음 11장 13절에서 이렇게 약속하셨다. "너희가 악할지라도 좋은 것을 자식에게 줄 줄 알거든, 하물며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구하는 자에게 성령을 주시지 않겠느냐." 비결은 간단하다. 예배와 설교 시간에 집중하고, 간절히 사모하며, 하나님께 성령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면 하나님은 반드시 응답하신다.

설교가 끝난 뒤, 우리는 두 갈림길 앞에 서 있다. 베드로의 청중처럼 회개와 변화의 길로 갈 것인가? 스데반의 청중처럼 분노와 대적의 길로 갈 것인가? 오늘도 성령께 귀를 기울이고, 말씀을 붙들어 순종하며, 삶 속에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열매를 맺는 우리가 되어야 한다. 설교 후의 진짜 결론은 강단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 써 내려가야 한다. /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4.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5.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1. '포스트 추석' 충청 정가… 본격 지선 체제 돌입
  2. 대전·세종, 박물관·미술관 전국 꼴찌…'문화의 변방' 전락
  3. 충남 중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교원단체 "순직 인정 필요"
  4. 대전 중구, 석교동 도시재생대학 8기 끝으로 성공적 마무리
  5.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헤드라인 뉴스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최근 충청권 국·공립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다 정년을 채우지 않고 중간에 그만둔 교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단을 지탱할 '허리' 연차에서 명예 퇴직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열악한 처우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동구갑)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충청권 4개 시도 국·공립 초등학교 명예 퇴직자는 2020년 161명, 2021년 172명, 2022년 205명, 2023년 265명, 2024년 288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같은..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