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학 아카이브] 65-고 김성동의 문학자료와 대전

  • 오피니언

[대전문학 아카이브] 65-고 김성동의 문학자료와 대전

박헌오 (사)한국시조협회 고문

  • 승인 2025-09-01 16:50
  • 신문게재 2025-09-02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50830_124717202
김성동의 유고 역사 에세이. (사진= 박헌오 고문)
소설 만다라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소설가 고 김성동(1947. 11. 8. ~ 2022. 9. 25.)은 대전시에 자신의 문학 자료와 육필원고와 소장품들 모두를 대전광역시에 기증하고 싶다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고 대전시는 이를 받아들여 김성동의 문학 관련 자료와 저서와 육필원고들을 모두 대전에서 소장하고 있다. 김성동은 1947년 보령에서 태어났으나 소년 시절 대전으로 이사 와서 서대전초등학교에 다녔고 삼육고등 공민학교를 다녔다. 김성동의 아버지는 대전교도소에 복역 중 산 내 골 영재에서 집단 학살당한 사람 속에 섞여 뼈를 묻었다. 후에 김성동은 산내에 은거하며 소설을 집필하기도 하였다고 알려졌다. 김성동의 작품은 장편 소설 만다라와 전 5권의 대작 국수를 비롯한 장편 소설을 비롯해서 20여 권의 저서를 발간하였다. 그리고 김성동은 아예 컴퓨터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작품을 원고지에 만년필로 써서 엄청난 육필원고가 남아있다. 안동김씨 김상용〔제:김상헌, 김호연재의 선조〕의 후손으로 선대 조상들의 유품들도 꽤 있다. 김성동을 사상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분들도 있지만 「역사적인 자료들은 훼손되면 복구할 수 없으며 역사적인 평가는 후손들의 몫이므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소중한 일이다」라는 큰 안목으로 대전광역시는 김성동의 자료들을 수장하게 된 것이다.

박헌오 (사)한국시조협회 고문

2025010601010002270
박헌오 고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2.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5. 건양대병원, 차세대 보행 재활 로봇 활용해 스스로 걷기에 도움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