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메이슨대 한국캠퍼스, '2025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 전국
  • 수도권

조지메이슨대 한국캠퍼스, '2025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메이슨 케어 프로그램', 지역 사회 긍정적 영향력 목표
인천 지역 환경개선과 공동체 상생 지역주민 소통의 장

  • 승인 2025-09-29 08:41
  • 주관철 기자주관철 기자
국캠퍼스_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1)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George Mason University Korea)는 지난 26일 인천 부평구 일대에서 2025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을 펼쳤다.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은 인천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진행되어 온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조지메이슨대학교는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의 한국연구개발법인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 봉사단 '지엠 드림즈(GM Dreams)' 및 부평구 자원봉사센터와 협력해 매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행사에는 조지메이슨대 한국캠퍼스 조슈아 박(Joshua Park) 대표, 권소영 대외협력처장, 안젤라 강(Angela Kang) 학생처장, 짐 패잇(Jim Pait) 재무 및 행정 처장과 美 조지메이슨대학교 키스 렌쇼(Keith Renshaw) 학부교육 총괄 선임 부총장보 및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브라이언 맥머레이(Brian McMurray) 사장 등 양 기관 임직원과 학생 약 180여명이 참여했다.

올해의 벽화 주제는 '동화'로 조지메이슨대 팀은 영미권 동화를,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측은 한국 전래동화를 컨셉으로 지역 일대 담장을 다채롭게 꾸몄다. 참여자들은 화려한 색채와 따뜻한 이야기 속 장면들을 벽면에 옮기며, 지역 생활환경을 한층 밝고 쾌적하게 변화시켰다. 특히 이번 활동은 학생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인천 지역 주민과 함께 소통하는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조슈아 박(Joshua Park)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 대표는 "이번 벽화 그리기 봉사는 단순히 벽을 꾸미는 것을 넘어 지역주민들의 일상 속에 활력을 불어넣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혁신과 전문성,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인천 지역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메이슨 케어 프로그램'은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 회원기관인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천형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인천 해변에서의 정기적인 해양 환경 보호 활동을 비롯해, 지역 아동센터 및 복지기관과 연계한 교육 멘토링 '글로벌 커리어 캠프', 인천시 교육청과 함께하는 'K-SDGs 영어 스피킹 프로그램', 기후변화·윤리·다문화 이해를 주제로 한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등 다양한 지속가능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글로벌 시민의식의 함양을 이끌고 있다.

한편,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는 버지니아 주 최대 규모의 공립 연구중심대학인 조지메이슨대학교의 확장 캠퍼스이다. 미국 캠퍼스는 워싱턴 D.C. 인근에 동부권 핵심 지역에 위치하여 백악관, 정부기관, 글로벌 대기업과 첨단 IT 기업과의 연계가 활발하며, 학생들에게 미국 현지 인턴과 취업 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올해 시행한 월스트리트저널 대학평가에서 미국 공립대학 가운데 30위, 전체 대학 기준으로 76위에 오르며 우수한 평가를 받은 바 있다. 한국 캠퍼스는 미국 캠퍼스와 동일한 커리큘럼과 학위를 제공하며, 학생들은 미국 캠퍼스에서 1년간 학업하며 글로벌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