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교통대에 따르면 전체 교수회의 대의기구인 교수평의회는 30여 명의 평의원 교수들로 구성돼 있다.
교수평의회는 교무회의를 통해 상정된 학내 주요사안에 대해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막강한 권한을 쥐고 있으면서도 교수평의회는 교수의 직원사찰 의혹, 총장의 직원 성과급 임의등급 변경,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2단계 평가대상 포함 등 비정상적인 학내 문제에 대해서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교통대처럼 교육부 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권인 2단계 평가대상에 포함된 강원대 교수평의회가 학교 위기의 책임을 물어 총장과 보직교수 자진사퇴를 주장하는 것과도 대비된다.
평의원 A교수는 “교수평의회 회의에서 총장과 본부 측에 대한 문제점을 논의하지만 전혀 전달이 되지 않아 학교가 몰락하고 있다”면서 “평의회 의장 등 임원들이 총장과 보직교수들의 '홍위병' 역할을 한다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정말 창피하고 평의원을 그만 두고 싶정”이라고 한탄했다.
실제 교육부 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권으로 몰리자 김영호 총장이 당시 평의회 부의장인 B교수를 교무처장으로 임명한 것을 두고 일부에서는 '교수평의회' 무용론까지 제기하기도 했다.
이처럼 교수평의회가 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의견이 학내에서 팽배하면서 학생과 직원, 교수 등 모든 학내 구성원이 참여하는 '대학평의회'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직원단체의 한 관계자는 “2012년 교수회와 노조 간에도 교수평의회 대안으로 대학평의회를 만들자는 합의를 했다”면서 “총장과 본부 측의 잘못된 행보에 제대로 된 제동을 걸고 발전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대학평의회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순석 의장은 “교수들의 연봉제 등 정책적인 사안 때문에 학교 대표로 나서다 보니 학내 문제에 대해서는 큰 관여를 하지 않아 어용이라는 소리까지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28일 회의를 갖고 학교 위기 탈출 해법에 대한 평의원 교수들의 의견을 존중해 총장과 본부 측에 적극적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다.
충주=최병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