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숙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경제/과학
  • 유통/쇼핑

공유숙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승인 2016-09-01 17:47
  • 신문게재 2016-09-01 6면
  • 김대식 기자김대식 기자
▲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유숙박은 위법 가능성이 높다.
▲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유숙박은 위법 가능성이 높다.
지역경제 활성화 VS 상권 침해... 제도적 기준 마련 시급

‘공유숙박’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싼값에 좋은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도움된다는 입장과 상권을 침해한다는 숙박업계가 맞서는 형국이다. 자치단체들은 관련법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손을 놓고 있다.

공유숙박은 주거용으로 사용 중인 주택 등을 숙박용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1박에서부터 제공자와 협의해 장기간 투숙까지 가능하다. 모텔이나 호텔 같은 기존 숙박업체보다 저렴한 가격과 ‘주거지’를 숙소로 이용한다는 친근함에 최근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대표적 공유숙박 앱인 ‘에어비앤비’에 등록된 장소가 지역에 202곳에 달하고, 성수기에는 예약이 어려울 정도로 활발한 숙소 공유가 이뤄지고 있을 정도다.

공유숙박은 한 번 생산된 제품(장소)을 여럿이 소비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는 ‘공유경제’의 한 부분으로, 오히려 권장 대상이라는 게 관련업계의 입장이다. 개인소득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타지에서 온 사람들이 숙소비용을 절감하면서 지역에서 다른 소비를 할 수 있다는 것에서 개인과 지역 모두 윈윈(Win-win)이라는 것이다.

반면, 모텔 등 숙박업소 운영자들은 위법과 상권침해를 이유로 공유숙박을 반대하고 있다. 담당 기관에 허가받지 않고 세금도 내지 않는 공유숙박은 부당이익 취득으로 지역 상권을 파괴하는 행태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정부는 공유숙박의 제도화를 위해 지난 5월 지역전략산업육성을 위한 규제자유지역 지정특별법, 이른바 ‘규제프리존 특별법’을 발의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부산과 강원, 제주 등이 공유숙박업으로 등록한 집주인이 1년에 120일을 넘겨 영업하면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시범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 것 역시 마찬가지다.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기 전까지 섣불리 단속에 나서기는 어렵다”며 “지역 내 공유숙박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수집해 제도 확립 후 철저한 단속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대식 기자 kds19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 '복당' 주목...행정수도 완성의 또다른 퍼즐
  2.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모평부턴 점수 예측 어려워
  3. 산단공 충청지역본부, 지역안전지킴이 육성 프로그램 업무협약
  4.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5. 사이언스짐 신동식, 제36회 Mr.대전 그랑프리 우승
  1. 대전 200억원대 전세사기 피해자들 "임대인 엄벌을" 탄원
  2. 세종시 '올스타 배팅센터'...학생 야구 저변 확대 돕는다
  3. 'Disease X' 대응전략은?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심포지엄
  4. 백석대, 2024학년도 연구실적 우수교원 시상
  5. 한기대 '2025 ESG 포럼' 성료

헤드라인 뉴스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2026학년도 대입에서 '사탐런(사회탐구 과목 쏠림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수험생들의 선택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N수생이 가세하는 6월 모평 이후엔 이 현상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5월 8일 실시된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분석결과 사회탐구(사탐) 응시 인원이 전년보다 10만707명 증가한 43만 415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0.2% 증가한 수치다. 과학탐구(과탐) 응시자는 21만7723명으로, 4만 4810명 줄어들며 17.1% 감소 폭을 보였다. 5월 학평 기준 사탐 응시율은 20..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미래차 전장산업 혁신 중심지로 도약한다. 충남도는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단계 특화발전 사업계획 종합 평가'를 통과해 내년부터 5년간 국비 100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2단계 사업에는 국비와 동일한 규모의 지방비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며, 1단계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특화발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미래 모빌리티 전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고도화 전략을 집중 전개해 지역 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적인 기술 혁신..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대통령 선거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른 대선 호재를 등에 업고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셋째 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30% 올랐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5주 연속 기록했다. 세종은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매매 수요가 증가해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 집값은 4월 둘째 주 0.04%, 셋째 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