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버스노선 전면 개편 아니다" 오락가락 무능행정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버스노선 전면 개편 아니다" 오락가락 무능행정

  • 승인 2017-02-20 11:26
  • 신문게재 2017-02-20 14면
  • 천안=박지현 기자천안=박지현 기자
천안시가 시내버스 운수업계 반발에 따라 버스노선 전면개편을 부분 개편으로 추진하겠다고 선회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무능한 행정을 보이자 지역민심이 들끓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15일 운수업계 반발로 버스노선 전면 개편이 아닌 부분 개편을 진행하고, 2월 말 버스노선 부분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시는 2015년 8월 지역 내 대중교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내버스 전면 개편 용역에 착수하며 버스노선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한 바 있다.

이는 2007년 전면 개편 이후 9년 만에 이뤄지는 것으로, 시는 용역비 4억2300만원을 들여 (주)수성엔지니어링 등 4개사가 공동으로 용역을 맡아 수행했다.

당시 진행한 시내버스노선 전면개편 용역 착수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60분 이상 배차간격인 노선이 시내권 10개(41.7%), 시외권 87개(77.0%)를 차지하고 있다.

종합터미널에서 남부오거리까지 대흥로에 46~65개 노선이 집중돼 있는 등 원도심에 운행횟수가 집중돼 있으며 대흥로는 1일 1400~3100회 운행해 신도심, 개발지구를 고려한 노선 공급이 필요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당초 시는 버스 운수업체 3개사 148개 노선, 360대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한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설명회, 공청회를 거쳐 2016년 8월 전면 시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6개월이 넘도록 전면 개편안을 발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나마 지난달 발표한 90번 신규 노선마저도 KTX천안아산역 운행을 두고 아산시와 천안시가 마찰을 빚고 있다.

천안시와 아산시는 2004년 천안 시내버스는 천안과 불당동, KTX천안아산역을 하루 133회 운행하겠다고 합의했다.

천안시는 합의서에 명시된 133회 중 70회를 현재 운행중에 있고 지난달 24일자로 90번 신설 노선이 나머지 운행을 채우는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아산시는 13년 전에 합의된 내용이어서 현재 실정에 맞게 재협의나 재합의가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더구나 시는 이달 중으로 전면 개편안을 발표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말해왔지만, 이는 시민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눈속임용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는 영업권, 적자노선 등을 이유로 운수업계가 반대하자 전면 개편이 아닌 부분 개편을 고수하겠다고 말을 바꾸는 등 졸속행정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는 내부적인 학술용역일 뿐으로, 운수업계가 전면 개편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전면 개편을 강요할 수 없다”며 “전면개편이 아닌 단계적으로 부분 개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안=박지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이종수 미술관 건립 드라이브 건다
  2. [맛있는 여행] 73-나비축제로 더 알려진 함평의 '생고기비빔밥'
  3. 한의학연 원장 선임 1년째 지연… 노조, 인사개입 의혹 제기도
  4. 서류전달 서비스 업무? 보이스피싱 수거책 잇단 무죄…"현금전달 범죄 가능성 적극 알려야"
  5. ‘이제 어엿한 성인’
  1. 대전 서구, 2년 연속 공약 이행 평가 '최우수(SA) 등급'
  2.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
  3. 대전시, 건축 3개기관과 ISAIA 2026 성공 개최 협약
  4. 도박에 뒤따르는 법률 문제는? 대전충남치유센터 전문가 강의 개최
  5. 대전가정법원, 청소년들과 10박11일 250㎞ 도보순례 떠난다

헤드라인 뉴스


국민 10명 중 6명 `물가 안정` 최우선 민생과제로 꼽아

국민 10명 중 6명 '물가 안정' 최우선 민생과제로 꼽아

국민 10명 중 6명은 최우선 민생 과제로 물가 안정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최우선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9%가 '물가 안정'을 꼽은 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 순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도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20대 이하 57.2%, 30대 56.3%, 40대 63.5%, 50대 64.9%, 60대 이상 60.7%를 기록했다. 물..

올 1분기 영끌 이어지며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 빚 역대 최대치
올 1분기 영끌 이어지며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 빚 역대 최대치

올해 1분기(1~3월)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가계 빚(부채)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다만, 신용대출이 5조 원 가까이 줄어든 영향으로 가계 빚 증가 폭은 전 분기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말(1925조 9000억 원)보다 2조 8000억 원 많다. 이는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 대전에 문 연다…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개소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 대전에 문 연다…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개소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인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가 20일 대전 서구에 둥지를 틀었다. 산림청과 산림복지진흥원은 이날 진흥원 신청사와 교육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장종태 의원(서구갑) 등이 참석해 목조건축의 시공 방식과 내화 및 내진 설계 등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경청한 뒤 사무 공간으로 쓰이는 본관동과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는 교육동, 그리고 문화공간인 숲속도서관 등 주요 시설을 둘러보며 건축 전반을 살펴봤다.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는 공공건축 부문의 탄소중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

  • ‘이제 어엿한 성인’ ‘이제 어엿한 성인’

  •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