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9-1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호랑이의 위엄(威嚴)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리다.

글자로는 狐(여우 호) 假(거짓 가, 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로 구성되어있으며, 출전은 전국책 초책(戰國策 楚策)에 보인다.

본 고사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는 아첨꾼이나 소인배 또는 악덕의 관리를 비유할 때 많이 사용되며 국가의 고위층관리나 권력층의 고관일수록 심하다.

초(楚)나라 선왕(宣王) 때 소해휼(昭奚恤)이라는 재상이 있었는데, 한(韓), 위(魏), 조(趙), 제(齊)나라가 한결같이 소해휼을 두려워하였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선왕이 신하들에게 물었다. "듣자하니 북쪽의 여러 나라들이 모두 소해휼 재상을 두려워한다고 하는데 어찌 된 일인가?" 신하들 가운데 누구 하나 제대로 대답을 못 하고 있는데 강일(江一)이라는 대신이 대답했다.



"산중의 왕 호랑이가 모든 짐승들을 잡아서 먹이로 삼다가 하루는 여우를 잡게 되었습니다. 꾀 많은 여우는(죽지 않으려고)호랑이가 무섭지만 시침을 떼고 말했습니다. '그대는 감히 나를 잡아먹지 못할 것이다. 나는 천제(天帝)께서 나를 온갖 짐승의 우두머리로 삼았으니, 지금 나를 잡아먹으면 천제의 명을 거스르는 것이 된다.

나를 믿지 못하겠다면 내가 앞장설 테니 내 뒤를 따라와 봐라. 나를 보고 감히 달아나지 않는 짐승이 있는가 보아라.' 호랑이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여우와 함께 여러 짐승들이 있는 곳을 천천히 걸어갔습니다. 그러자 짐승들이 보고 모두 달아나기에 바빴습니다. 호랑이는 짐승들이 자기를 두려워해 달아난다는 것을 모르고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대왕께서는 지금 국토가 사방 5천 리, 군사가 백만인데 이를 소해율에게 맡겼습니다. 그러므로 북방의 나라들이 소해율을 두려워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대왕과 대왕의 군대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마치 짐승들이 호랑이를 두려워하듯이 말입니다."

위 이야기는 지극히 간단하고 해학적인 내용이지만 오늘날 정치를 담당하는 자들이 권력자를 등에 업고 약한 사람들을 괴롭히는 자들에게 경종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요, 힘없는 자(백성)들도 권력자를 믿고 허세를 부리는 자를 유심히 관찰하여 허세에 놀라지 않는 예리한 판단을 가져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제시 하고 있어 잘 새겨두어야 할 것이다.

예로부터 역대 어느 정권이든 항상 최고 권력자를 등에 업고 온갖 가혹한 악행을 저지르고 원칙을 무시하면서도 당당하고, 파렴치(破廉恥)하면서도 후안무치(厚顔無恥)한 경우를 우리는 종종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 비극적인 역사들이 많지만 그 중 연산군(燕山君)과 임사홍(任士洪)부자(父子)의 행동은 조선역사를 송두리째 시궁창으로 넣어버리는 듯한 참혹스러움 그 자체이다. 군주가 바르지 못하면, 위로는 온갖 아부(阿附)로 권력자의 비위를 맞추고, 아래로는 거짓과 협박으로 약한 자를 우롱(愚弄)하는 비열한 행동을 서슴치 않고 자행하는 자는 어느 시대든 간에 있게 마련이다. 비단 조선시대뿐이던가?

첨단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의 대한민국도 그 때와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

최고 권력자를 등에 업고 주군(主君)에게는 충성하지만 국민들에게는 상식적으로 이해 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애처로운 몇 사람이 마치 조자룡 헌 칼, 헌 창 쓰듯 마구잡이로 거짓과 협박, 뻔뻔함 등으로 허세를 부리고 있다. 가히 역사에 길이 남을 전형적 호가호위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호랑이가 시킨 것도 있겠지만 이제는 알아서 도를 넘어 불법(不法)을 재미로 알고 자행하는 태도는 이미 사람이기를 거부한 마구잡이 행동을 아무 거리낌 없이 하고 있는 짐승과 다를 바가 없다.

조선 중기의 학자 서기(徐起 1523∼1591)가 지었다는 탄시(歎時:시대를 탄식하며 지은 시(詩)한 편을 보자.

形獸心人多古聖(형수심인다고성)몸은 짐승 같으나 마음이 사람다운 자는 옛 성인 가운데 많고

形人心獸盡今賢(형인심수진금현)몸은 사람 같으나 마음이 짐승인 자는 오늘날 현자라는 자들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擾擾東華冠帶十(요요동화관대십)서울 길을 왁자하게 헤치고 다니는 화려한 분들이여

暮天風雨奈君恩(모천풍우내군은)비바람 몰아치는 저문 하늘이 되면(임금이 권력이 없어지면) 임금님 은혜는 어찌 하려는가?

채근담(菜根譚)의 교훈을 다시 한 번 새겨본다.

권력의 세(勢)를 쫒아서 붙어사는 재앙은 매우 참담하고 매우 빠르지만, 고요한데 살아 편안함을 지키는 맛은 가장 맑고 가장 오래간다.(趨炎附勢之禍 甚慘亦甚速. 棲恬守逸之味 最淡亦最長./추염부세지화 심참역심속 서염수일지미 최담역최장)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쫓아 권세가에게 줄을 대고 그들에게 기생(寄生)하기 위해 꼬리를 치는 작태를 우리는 역사 속에서, 그리고 현실 속에서 흔하게 보게 된다.

그들이 감당해야 할 공통점은 그 권세가의 세도가 쇠(衰)함과 동시에 하루아침 이슬처럼 사라지고 마는데 그 말로가 한결같이 비참하다는 것이다. 어쩔 수 없어서 권력자의 주구(走狗)가 되더라도 적당한 때에 손을 떼고 물러나는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