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오징어게임 열풍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오징어게임 열풍

배기원 대흥영화사 감독

  • 승인 2021-11-17 16:15
  • 신문게재 2021-11-18 19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배감독 고화질2
배기원 대흥영화사 감독
요즘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이라는 드라마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수백억의 상금을 타기 위해 생존의 게임을 벌이는 456명 참가자의 이야기를 긴장감 있게 풀어놓은 시리즈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성공을 거두었다. 드라마에 캐릭터들이 입었던 초록색 체육복과 가면, 옷 등이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으며 오징어게임의 패러디물이 유튜브 등 영상플랫폼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한, 미국의 유명 유튜버가 23억 원을 들여서 오징어게임에 나온 세트장을 똑같이 만들고 총상금 17억을 걸어 실제 오징어게임을 개최한다고 하니 과연 오징어게임 열풍이라고 할만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기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우리는 누구나 어린 시절에 좋아했던 추억의 놀이는 하나쯤 갖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코흘리개 어린 시절에 구슬치기와 딱지치기를 좋아했다. 구슬도 다양했는데 투명한 유리구슬 안에 우주를 형상화한 것 같은 무늬가 박혀있는 구슬이 대부분이었고 가끔 흰색에 파란색이 섞여 있는 구슬도 있었다. 드라마에 나온 것처럼 홀짝으로 승부를 겨루는 게임도 있었다. 딱지 또한 동그랗게 인쇄된 딱지와 일반 종이로 접어서 사각형으로 만드는 딱지가 있었다. 네모난 딱지는 주로 바닥에 놓고 힘껏 내려쳐서 뒤집히면 이기는 것이 규칙이었고 동그란 딱지는 글자와 숫자, 그림을 비교해서 승패를 결정지었다.

또 다른 추억은 어떤 것이 있었을까. 동네 형들과 뒷산에 올라 나뭇가지로 만든 팀을 짜서 총싸움하던 기억, 대문 옆 벽에 팔을 포개서 이마를 대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외쳤던 기억, 술래가 되어 친구들을 찾아다니던 숨바꼭질의 기억 등 잊고 지냈던 어린 시절의 추억이 되살아난다. 물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놀이는 달라졌다. 초등학교로 진학하면서는 축구, 야구 등의 스포츠게임도 즐겼고 바닥에 오징어를 그려놓고 깨금발로 상대와 대결하던 기억, '불났니'라고 해서 바닥에 금을 그어놓고 상대방이 지키면 그곳을 통과하는 게임도 있었다.

드라마 오징어게임에서는 추억의 달고나로도 기막힌 스릴을 선보인다. 그 시절이야 한 번 더 하느냐 못하느냐로 재미가 있었지만, 드라마에서는 목숨을 걸고 달고나를 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형식의 영화나 드라마가 전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1분 1초도 방심할 수 없을 정도로 목숨이 위태로운 장면이나 인생이 뒤바뀌는 이야기, 그룹 안에서 살아남으려고 발버둥 치는 이야기 등 오징어게임 같은 플롯은 끊임없이 만들어져 왔다. 하지만 유난히 이 드라마가 대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일까. 여러 측면에서 바라보건대 어쩌면 팬데믹으로 극장에 가지 못하는 관객들을 흡수할 수 있는 영화적 긴장감과 재미, 대부분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세상살이의 힘겨움, 배우들의 열연 등 여러 가지 요인이 현재 상황과 잘 맞물려 성공할 수 있었지 않나 생각이 든다. 특히 감독이 이 시나리오를 경제적으로 아주 어려웠을 때 썼다는 얘기는 절박한 심정으로 주인공에 동화되어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쨌거나 우리나라의 영화와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K-콘텐츠가 세계적인 명성을 얻으며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세계 최고 권위의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K-pop, K-drama가 등재되었으며 한류를 뜻하는 hallyu도 올려졌다고 하니 한국 문화 콘텐츠의 쾌거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기쁨의 소식들이 창작자에게는 힘이 되길 바라며 이러한 문화의 수준을 끌어올린 관객들 또한 자부심을 느끼고 문화예술 창작작업에 응원을 해주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