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노루귀꽃을 바라보며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노루귀꽃을 바라보며

김명순 대전문인총연합회장

  • 승인 2022-03-09 18:12
  • 신문게재 2022-03-10 19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김명순(필진)
김명순 대전문인총연합회장
어쩌다 노루를 만나 걸음을 멈칫하면 노루도 멈칫 서서 낯설다는 눈빛 남기고 눈 깜짝할 사이에 숲속으로 사라진다. 쫑긋 세운 귀에 까맣고 동그란 눈동자 누런 모직 옷에 긴 다리가 짐승 중에 가장 날씬한 몸매다. 짐승 중에 달리기 실력이 가장 빠른 선수일 거다. 가까이할 수 없는 당신이기에 나는 당신이 그리운지 모른다. 너의 낯선 눈빛이 내 눈빛 같아서 나는 너를 좋아하는지 모른다.

정말 사람 세상이 얼마나 무서우냐? 보기만 하면 잡으려 하고 뭐든지 그냥 놔두지를 않으니 말이지? 총질하고 올무 놓고 못살게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무서우냐? 나는 같은 사람으로 살면서 사람이 무서울 때가 있다. 얼굴을 마주하기도 어렵지만 입을 열어 말 붙이기도 어렵단다. 저 잘난 멋에 사는 게 인생이라 노래 부르며 사는 존재들 속에서 살기가 어려워 내 눈도 너처럼 놀란 눈으로 멍청할 때가 있단다. 너는 눈이라도 크게 뜰 수 있지? 나는 눈도 크게 못 뜨고 살아서 감은 눈인지 뜬 눈인지 모른다.

나는 너를 좋아한다. 네 친구 고라니도 좋아한다. 너희들이 우리 배추밭에 와서 배추 뜯어 먹고 까만 방콕 같은 똥 몇 개 남기고 간 걸 보면 그날은 온종일 기분이 좋다. 함께 먹고 살려고 내가 여유롭게 배추 모를 심는다. 우리 아내는 너희들이 다녀가면 난리를 친다. "얘네들 또 왔다 갔네, 그러니까 내가 뭐라고 했어요. 울타리를 치자니까요?" 그래도 나는 너희 편이다. "함께 먹고 사는 겨!"라고 답하고 만다.

그런데 내가 너에게 해 줄 말이 있다. 이른 봄에 산속 계곡 양지바른 곳에 가서 내가 너의 귀를 만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노루귀' 라는 풀이 있는데 얼마나 예쁜지 몰라. 아마 너도 보았을 거야. 이름이 노루이고 너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노루귀라고 부르는가 봐. 아무리 바라봐도 너의 귀를 닮지 않아서 노루귀를 만나러 학하리 빈계산 지나 금수산 계곡을 찾아가지. 키는 작지만 긴 꽃대 끝에 매달린 꽃봉오리가 너의 귀를 닮은 모양이었어. 그리고 꽃이 피었을 때 꽃잎을 자세히 살펴보니 너의 귀를 빼닮았어. 꽃은 흰색으로 피는 것도 있고 분홍색, 하늘색으로 피는 것도 있어. 이른 봄이면 얼마나 예쁜지 사람들이 노루귀꽃을 찾으러 다니고 있어. 긴 꽃대에는 하얀 털이 나 있는데 얼마나 보드라운지 몰라, 꼭 너의 털처럼 말이야. 햇빛이 꽃대에 닿으면 하얗게 빛나며 골바람에 흔들리는 노루귀 꽃대가 지금도 눈앞에서 흔들리고 있어.



숲에는 나무만 있는 것이 아니다. 키가 큰 나무숲 아래 작은 나무숲이 있고 그 아래 풀숲이 있다. 숲속 작은 골짜기 풀숲 아래 키 작은 노루귀가 봄을 열고 있다. 숲은 작은 계곡에 물을 흘려 강의 발원이 되어 바다에 닿아있다. 봄꽃은 노루귀만 있는 게 아니다. 설 중에 눈을 열고 솟아오르는 복수초도 있고 개불알꽃 제비꽃이 피면 복슬복슬 버들강아지 흔들거리고 산동백 노랗게 웃으면 벚꽃이 흐드러지게 필 것이다.

숲속 나뭇가지에 새순이 돋고 계곡마다 풀숲이 기지개를 켜면 산새들 노랫소리 청량하고 짐승들 이리 뛰고 저리 뛰고 사랑놀이 즐거운 계절이 오고 있다. 숲을 지키는 나무들은 서로 시기하고 질투하지 않으며 자리를 옮겨 앉지도 않는다. 산새들 노래하는 숲에서 노는 짐승들은 숲을 떠나지 않으며 함께 숲을 지킨다. 어울림의 조화를 이어가는 자연에서 사람이 예외일 수는 없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거만함으로 숲에 들지 말아야 한다.

자주 숲에 들어 숲속 식구들의 표정을 읽고 이야기를 들어야겠다. 그들로부터 편을 가르지 않는 지혜를 배우고 자기 자리를 지키는 의지를 익혀야 한다.

텔레비전 뉴스가 시끄럽고 무섭다. 자연에 기생하며 사는 인간들의 행태가 실망스럽다. 패를 나누어 싸우는 전쟁이 그렇고 하늘을 뚫고 오르는 미사일이 무섭다.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이 자행되는 세상이 인류문명의 종착지인가? 같은 언어를 사용하며 생각이 통하지 않고 따듯한 마음을 나눌 수 없는 사회에 사는 것이 불편하다. 민주는 국민이 주인인 세상이며, 자유는 생각과 행동이 자유롭되 함께 편안한 평화로운 세상이어야 한다. 정의는 법이 아닌 양심을 지키는 삶이다. 자연은 어머니처럼 사람을 품에 안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삼백육십오일 책장을 넘기며 어리석음을 깨우고 있는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3.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