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아드 폰테스(ad fontes)! 다시, 읽기로 돌아가자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아드 폰테스(ad fontes)! 다시, 읽기로 돌아가자

김형규 세종교육청 장학사

  • 승인 2022-11-16 15:14
  • 신문게재 2022-11-17 18면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김형규 세종교육청 장학사
김형규 세종시교육청 장학사
나의 독서 습관을 1990년대부터 10년 주기로 돌아본다.

1993년 고교생 때는 도서관에서 소설을 대여해 많이 읽었다.

친구에게 문학 소년이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수호지 같은 책부터 이상문학사 수상작품집까지 여러 책을 읽었다.



신문 사설이 논술에 도움이 된다고 해 신문도 읽었다.

2000년 인터넷 시대가 시작됐지만, 그래도 책을 계속 읽었다.

읽는 책이 소설에서 자기계발서로 바뀌기 시작했다.

2010년이 되어 나의 독서습관은 큰 변곡점을 맞게 된다.

스마트폰을 사게 된 것이다.

읽을 게 너무 많았다.

정확히 말하면 볼 게 많았다.

종이책을 읽었을 땐 정독하며 읽었다.

그러나 온라인에서는 정보를 건너뛰며 읽는 습관이 생겼다.

우리 아이들의 독서습관은 어떨까?

이들의 관심을 끌 만한 볼거리가 차고 넘친다.

이러한 환경에서도 독서습관을 잘 형성하고 평생 독서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학교 독서교육의 중요한 목표다.

문제는 아이들에 따른 독서량의 차이다.

이 점은 학교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교육청 차원의 정책지원도 선행돼야 한다.

초등 1학년 한글 지도 연수에서 한 강사가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독서습관을 길러주는 것이다."

아이마다 독서량 차이가 크니 그것은 학교에서 해야 한다는 말은 올해 독서교육 업무를 맡은 내게 크게 들려왔다.

세종시교육청은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책 읽는 학교를 위한 학교생활 속 독서 활성화, 학교특성에 맞는 자율적 독서 인문 프로그램 개발·운영하는 독서교육 실천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인문 책 쓰기 실천단을 운영해 학생이 독자에서 작자로 나아가는 활동을 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인 읽기 프로젝트, 방과 후 독서 교실인 '북돋움반'도 운영 중이다.

독서와 연계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는 세종독서 인문 버스도 운영하고 있다.

교원의 책 읽기 문화 확산을 위해 서평 나눔 운동도 전개 중이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지도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실시간 연수도 현재 7개 과정이 동시에 운영되고 있다.

2022년, 바쁜 일상 속에서도 월 1회 독서 소모임을 하고 있다.

책을 읽고 함께 이야기 나눈다.

'아몬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노랜드', '방구석 미술관,' 등.

1년이면 12권이다.

소설 '아몬드'의 마지막 페이지에서는 뭉클했고, SF소설인 '노랜드'를 읽고는 먼 미래를 상상해 보았다.

독서모임이 아니면 읽지 못할 책이었다.

'파친코'의 첫 페이지 문장도 기억에 남는다.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르네상스를 일으키는 데는 많은 힘이 작용했지만, 그 시대의 시작을 알린 가장 중요한 발전이라면 고대 문헌(그리고 고대 언어)의 재발견과 이에 수반된 연구 기술이었다고 한다.(serious times·제임스 에머리 화이트 저)

우리 아이들은 온갖 볼거리가 많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아드 폰테스'(ad fontes·근본으로 돌아가라)라는 기치 아래 고대 텍스트를 읽고 르네상스를 꽃피운 것처럼, 2020년대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도 책을 재발견해 읽고, 토론하고, 글 쓰는 문화가 꽃피우기를 기대한다.

아드 폰테스! 다시, 읽기로 돌아가자, 그래서 독서로 모두가 특별해지는 황금세대로 불리자.

나의 2020년대 독서습관을 훗날 돌아봤을 때 "음, 그때 우리 아이들이 책에 관심을 두고 많이 읽어나가기 시작했어"라고 회상하기를 기대한다.

2030 독서 르네상스 시대를 꿈꾸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