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22. 성공과 성장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22. 성공과 성장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3-06-08 12:00
  • 신문게재 2023-06-09 18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성공의 사전적 의미는 '목표를 정해서 그것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부와 명예, 그리고 사회적 지위를 얻는 것을 '세속적'으로 성공한 삶이라고 말하지요. 이러한 성공의 경험을 통하여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한번 성공하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므로 또 다른 성공에 도전하게 되지요. 이러한 성공을 하는 데는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고, 실패도 감수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성장은 '자기 능력, 지식, 자의식, 인간관계를 개선해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성장이 성공과 다른 것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데 있습니다. 톨스토이는 평생 어떻게 쓸 것인지보다 어떻게 살지를 고민한 작가인데, 그가 내린 답은 '성장'이었습니다. 따라서 톨스토이는 일반적으로 성장을 '최선의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는 것보다는 더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하였지요. 그래서 톨스토이가 정의한 성장은 "내가 나 자신을 알고 나 자신과 훌륭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면서 더 나은 최선의 나를 만들어 가는 것이며, 자기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특별한 경우일 수도 있지만, 성공한 사람의 결말이 꼭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를 찰스 스탠리가 쓴 <하나님이 가르쳐 준 성공>이라는 책에서 지적했습니다. 1923년에 미국에서 가장 부유하고 명성 있는 6명이 시카고에 한 호텔에 모였습니다.

그들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큰 철강 회사의 사장이었던 찰스 슈압(Charles Schwab), 뉴욕 증권 거래소 소장이었던 리차드 위트니(Richard Whitney), 대통령 각료 중 한 명인 앨버트 폴(Albert Fall), 금융인 제시 리버모어(Jesse Livermore),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전매 회사의 사장인 이반 크로거(Ivan Klueger), 국제 주택 은행 총재 리온 프레이저(Leon Flasier)입니다. 이들은 일반인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부유했습니다. 이 여섯 사람의 부를 합치면, 미국 전체 정부 재정보다 더 많았다고 합니다. 당연히 '성공의 화신들'이었죠.



그러나 그때 시카고 호텔에 모였던 그들은 후에 모두 불행한 종말을 맞았습니다. 세 사람은 자살했고, 두 사람은 감옥에 갔고, 한 사람은 남의 돈을 빌려 겨우 연명할 수 있을 정도로 고달픈 삶을 이어갔다고 합니다.

물론 성공한 사람들의 결말이 불행하다는 것은 전혀 아니지요. 그러나 이처럼 세계 최고의 부자들도 불행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 것입니다.

우리는 명성이나 부의 덧없을 많이 보지만,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합니다. 그래서 부와 명성이 불행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부와 명성이 타락이나 범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성경에서는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된다.'라고 하였고, 간디는 '내게는 소유가 범죄처럼 생각된다.'라고 하였습니다. 무소유를 강조한 법정 스님은 '스스로 선택한 맑은 가난(청빈)은 절제된 아름다움'이라고 하였지요.

따라서 성공도 중요하지만, 톨스토이가 정의한 성장의 가치에 충실한 것이 더욱 필요합니다. 부와 명성을 얻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삶에 보람을 느끼고 작은 것에도 만족하고 고마워하며 사는 삶을 말합니다. 남들이 높다고 생각하는 자리에 올라도 명예나 명성보다는 봉사와 섬김의 역할을 맡았다고 생각하여 실천하면 성공과 겸손한 삶(즉 성장)이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야 신약성경에 '성공'이라고 번역된 단어가 한 번도 나오지 않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5.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