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25. 세계 최고의 커피 문화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25. 세계 최고의 커피 문화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3-06-29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우리나라 사람들은 커피를 얼마나 마실까요?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에 의하면, 1인당 연간 353잔을 마시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평균 하루 0.9잔꼴이지요. 세계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32잔인데, 그보다 2.7배 높은 수치입니다. 커피 전문점의 시장 규모도 약 7조 원에 달하여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입니다. 작년도 커피 (생두와 원두) 수입액은 13억 달러(1조 5990억 원)로 전년 대비 42.4%가 증가한 것을 보면 급속도로 커피 소비가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0년 기준 커피 브랜드 매출액은 스타벅스가 1위로 1조 8695억 원입니다. 2위인 투썸플레이스의 3288억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요. 스타벅스는 1999년 1호점으로 이화여대점이 개점한 이래, 작년 현재 1700개의 점포로 확장되었습니다. 특이한 것은 이와 같은 브랜드 커피점을 제외하더라도 지역의 구석구석에까지 대규모 커피 전문점이 나름대로 특색을 가지고 문을 열어 멋진 '커피 문화 공간'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896년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최초로 커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으나, 최근의 뿌리는 70~80년대의 음악 DJ가 신청곡을 틀어주던 청바지 세대들이 만들어 낸 '다방문화'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 그대 올 때를 기다려 봐도…'로 시작되는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의 노랫말에서도 그 당시 커피가 젊은 층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커피와 관련하여 몇 가지 장면을 소개하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침 출근길 빌딩 앞에는 커피 테이크아웃 잔을 들고 출근하는 무리를 발견할 수 있고, 점심시간에도 점심 식사를 커피 전문점에서 브런치 세트로 대신합니다. 저녁 귀갓길에 차를 타고 도심을 지나다 보면 불이 환히 켜진 길가의 커피숍 안에 젊은이들이 노트북을 들여다보고 앉아있거나 MP3를 귀에 꽂고 독서 중인 사람들을 투명 유리창을 통해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코피스족 (커피 전문점을 사무실로 삼아 업무를 보는 사람), 카페맘 (자녀를 학교에 보낸 뒤 커피 전문점에서 교육 정보를 교환하는 엄마들), 카페브러리족 (커피점을 도서관처럼 활용하는 사람) 등의 신조어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커피값은 외국에 비해 비싼 편입니다. 하지만 커피를 마시면서 누리는 효용은 단순한 커피 원가로 계산될 수 없습니다. 커피의 맛을 보는 소비 행위 자체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정도 직장도 아닌 제3의 공간인지라 해방감과 색다른 긴장감을 동시에 누리는 것입니다. 이것이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 개인이 소비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집단에 소속된 듯한 느낌을 갖게 만드는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엇에 꽂히면 종주국보다 더 깊고 넓게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성리학도 중국이 종주국이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더 깊이 연구되어 중국 송(宋)대의 성리학을 능가하게 되었지요. K-컬쳐의 하나인 팝, 클래식, 영화, 음식은 물론이고 여자 골프 같은 스포츠도 종주국을 뛰어넘어 세계 최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커피의 과소비를 지적하는 사람도 있지만, 커피를 통해 창의적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고, 커피 종주국에서 마시지 않는 '아이스커피'를 겨울에도 마셔대는 한국 젊은이들의 당당한 모습에서 오히려 희망을 느낍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2.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3.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4.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5.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1.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2.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4.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5. [대입+]] 2026 수시 충청권 의대 지원자 46% 감소… 역대 최저치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인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한다. 도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 활용까지 국내 최대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글로벌 수소 허브로 탈바꿈시킨다는 목표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서산 베니키아호텔에서 열린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구축 본격 추진을 선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 지사와 제프 로빈슨 주한 호주 대사, 니쉬 칸트 씽 주한 인도 대리 대사, 예스퍼 쿠누센 주한 덴마크 에너지 참사관 등 500여 명이 참석..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리얼 야구 예능 '불꽃야구'가 대전 한밭야구장(대전 FIGHTERS PARK)에서 21일 오후 5시 직관 경기를 갖는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한밭야구장을 불꽃야구 촬영·경기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한 협약 이후 시민에게 개방되는 첫 무대다. '불꽃야구'는 레전드 선수들이 꾸린 '불꽃 파이터즈'와 전국 최강 고교야구팀의 맞대결이라는 예능·스포츠 융합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경기는 수원 유신고와 경기를 갖는다. 유신고는 2025년 황금사자기 준우승, 봉황대기 4강에 오른 강호로, 현역 못지않은 전직 프로선수들과의..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충청권 경제 단체들이 추석을 앞두고 대전지역 전통시장을 찾았다. 내수 침체로 활력을 잃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다. 특히 이번 캠페인에는 이상천 대전세종중소벤처기업청장이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민생현장을 찾아 눈길을 끌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회장 정태희)는 지난 17일 오전 대전 서구 한민시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천 중기청장을 비롯해 정태희 회장(대전상의 회장), 김석규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송현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