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산성동 마을 사정성(沙井城) 축제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산성동 마을 사정성(沙井城) 축제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3-10-11 09:32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1011084416
백남우 회장
사정성은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동에 있는 백제시대의 성곽으로 대전시 기념물 제14호다. 표고 160m 산 위에 쌓은 테뫼식(산 정상을 둘러쌓은 성) 석축산성으로 성 둘레는 약 350m인데 성벽은 거의 무너져 현재는 윤곽만 있다. 성안의 건물지에서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 편이 수습되고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20년(498)조에는 "사정성(沙井城)을 축조하고 비타 한솔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고 하며, 성왕(聖王) 4년(526)조에는 "사정성에 목책을 세웠다"고 기록돼 있다.

또 『자치통감(資治通鑑)』 권200 당기(唐紀) 16 「고종 용삭2년 (662)」조에는 지라성(支羅城)과 윤성(尹城), 대산(大山), 사정책(沙井柵) 등을 무찔렀다고 기록돼 있는데, 이러한 기록으로 보아 이 성은 동쪽에 있는 성치산성(城峙山城)과 흑석동산성(黑石洞山城) 및 유성산성(儒城山城), 보문산성(寶文山城) 등 주변의 산성과 연결되는 중요 지점에 있는 산성으로 보인다.

대전 중구에 있는 산성동은 마을 이름이 산성이 있는 동네를 뜻하는 지명이다. 특히 사정동은 대전의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마을 지명이다. 물론 역사 기록상의 사정성(沙井成)과 대전시 중구의 법정동인 사정동(沙亭洞)이 같은 지명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資治通鑑》 唐紀 16 高宗 龍朔2년 秋7月 丁巳條에 ······ 仁願 仁軌知其無備 忽出擊之 拔其支羅城及尹城大山沙井等柵, 殺獲甚衆分兵守之 福信等以眞峴城險要 加兵守之 仁軌何其稍懈 引新羅兵衣薄城不禁 草而上比明入據其城 遂通新羅運糧之路······ (下略)라 하고 있다.

즉 지라성, 윤성, 대산책, 사정책 등을 함락시키고 바로 이어서 진현성을 공략하고 있다. 더욱이 앞서 수록된 머리글에는 유인원, 유인궤 등이 『大破於熊津之東拔眞峴城』 이라 하여 웅진의 동쪽에서 대파하고 진현성을 격파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사정책 등 모든 성책 들이 웅진의 동쪽에 있으며, 진현성에 가까운 거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 등장하는 진현은 고려시대 이후 오늘날의 진잠으로 이곳에 기록된 모든 성 들은 오늘날 대전 주변의 산성들이다. 따라서 사정성은 오늘날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동 소재의 『성재』일 가능성이 높다.



지난 10월 7일 오후 2시부터 대전시 중구 사정동 언고개 교통광장에서 제3회 '산성동 마을 사정성 축제'가 개최됐다. 산성마을 풍물단의 풍물로 시작한 마을 축제는 200여 명의 주민이 참가해 진행됐다. 백제식 복장으로 갈아입은 참가자들은 백제 24대 동성왕, 26대 성왕, 한솔 비타 장군을 새긴 큰 깃발을 앞세워 사정성 둘레길을 따라 걸으며 사정성에 도착했다. 산성 안에 도착해 먼저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고유제를 올렸다. 그리고 사정성 안에 가장 큰 상수리나무를 백제 한솔 비타 장군을 상징하는 수호목으로 정해 그곳에 참가자들의 염원을 적어 기원하기도 했다. 사정성 행사장에서는 탁본 뜨기, 백제 의복 입고 사진 찍기 등 다양한 행사도 했다. 그리고 산성을 내려와 교통광장에서는 주민들과 함께 즐기는 마을 잔치가 펼쳐졌다. 지역 가수와 국악인들의 공연 및 음식과 꽃차 등이 무료로 제공되고, 지역 농산물 판매, 솟대 만들기 체험 등 이었다. 올해 3회째 이어지는 '산성동 마을 사정성 축제'는 관 주도가 아닌 마을 공동체의 주민들이 스스로 이루어 낸 뜻깊은 행사였다.

흔히들 대전은 '산성(山城)의 도시'라 일컫는다. 대전이 다른 지역에 비해 고대 산성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점도 있지만, 일찍 이에 대한 지역학계의 연구와 시민단체들의 관심이 활발했던 점도 그 이유일 것이다. 늦었지만 대전시도 '산성(山城)의 도시' 대전의 정체성을 부각하기 위한 종합 정비 사업 제1단계를 시작했다. 작년부터 대전시는 갑천 수계 흑석동산성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월평동산성과 질현성, 능성, 적오산성, 사정성, 도솔산보루 등 총 7개 산성을 순차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문화유산의 발굴과 복원도 중요한 일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산성 축제'는 마을 공동체를 더욱 공고하게 하고 대전의 산성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이는 의미 있는 일이다. '산성의 도시'라는 도시 정체성과 산성의 보존과 활용이라는 면에서 시민들과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호응이 필요한 때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