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통가에서 '핼러윈이 사라졌다'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올해 유통가에서 '핼러윈이 사라졌다'

대형마트.백화점 관련 마케팅 안해
지역 자영업자들도 동조 분위기 커

  • 승인 2023-10-22 18:20
  • 수정 2024-02-06 09:21
  • 신문게재 2023-10-23 5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2019102801002543500110741
이전에 대형마트에서 진행한 핼로윈 상품 판매 모습. 사진은 중도일보DB
"이 시기면 거리에 넘쳐나던 주황색 호박이나 해골을 찾아보기가 힘드네요."

매년 10월이면 핼러윈(Halloween)을 앞두고 유통업계에서 앞다퉈 준비했던 이벤트가 올해는 사라졌다. 핼러윈은 유통업계에서는 대목이지만 지난해 발생한 참사 여파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22일 지역유통업계에 따르면 매년 핼러윈 마케팅에 주력했던 백화점·대형마트·편의점 등 유통업계는 관련 대형 마케팅을 하지 않거나, 제품군을 대폭 축소했다. 이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들은 핼러윈 상품 수를 줄이고 별도의 홍보 행사 및 판촉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이날 대전의 대형마트. 입구 중앙 매대에서는 골프용품이나 캠핑 용품 등 가을맞이 신제품 판매가 한창이다. 비슷한 시기 핼러윈 소품들이 주요 매대를 가득 채웠던 것과는 상반된 분위기다. 핼러윈 관련 제품들은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관련 상품은 판매하지만 단순 진열에 그치고, 상품 수도 지난해와 비교해 축소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많은 점포 수를 보유하면서 핼러윈 트렌드를 주도했던 편의점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편의점 업계도 올해는 관련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베이커리 업계도 핼러윈 콘셉트를 반영한 기획 상품을 선보이지 않고 추모에 동참한다. 핼러윈 전용 음료와 디저트 등을 선보였던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등 대형 커피 프랜차이즈들도 올해는 관련 메뉴를 출시하지 않기로 했다.



자영업자들도 조심스럽긴 마찬가지다. 매년 핼러윈에 소품을 설치했던 유성구의 한 카페 사장 김 모씨는 "카페는 분위기를 보고 손님들이 찾아주시기 때문에 핼러윈이나 크리스마스 같은 시기에는 관련 소품을 많이 설치했다"면서도 "올해는 주변을 봐도 핼러윈 분위기도 나지 않아 관련 소품 설치를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국내 정서와 연관이 적은 외국계 일부 기업들은 판촉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원래 핼러윈 축제는 원래 생소한 문화였지만, 2010년대부터 어린이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MZ세대들이 주도하면서 젊은 세대의 문화로까지 자리 잡았다. 그러면서 유통업계들은 온갖 핼러윈 의상과 소품으로 '핼러윈 특수'를 노렸다. 하지만, 지난해 이태원 참사 이후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유통업계는 물론 핼러윈 축제에 적극적이던 유치원들도 행사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난해 159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핼러윈 참사' 1주기(10월 29일)를 맞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사회 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겨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높다. 지역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물건을 파는 입장에서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당기기 위해서는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 핼러윈도 그런 대목 중 하나였지만, 지금 분위기는 아니다"라면서 "당분간 분위기는 이어질 것으로 보여 상당 기간 핼러윈 마케팅을 하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