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욕망의 덩어리: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욕망의 덩어리: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조상영 미술학 박사(미술작가·평론)

  • 승인 2023-11-15 09:00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1115085010
조상영 박사
'욕망'은 긍정적으로 말하면 무엇을 하고 싶거나 무엇이 되고 싶다는 꿈, 목표, 희망 같은 것이다.

우리 현대인들에게 욕망은 무엇일까? 삶의 긍정적 에너지일까? 아니면 공허한 푸념을 안기는 실체 없는 바람 같은 것일까?

그래서 욕망을 사람이 가진 최고의 힘이며 최악의 힘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스탠리 쿠니츠’는 인간 삶의 원동력에 대해 '첫째도 욕망, 둘째도 욕망, 셋째도 욕망'이라고 했는데, 욕망은 인간에게 양날의 검일 수 있다.



그 욕망은 어디에서 왔으며, 왜 우리 몸 안에서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깡’은 인간에게 욕구, 요구, 욕망이 있다고 보았다.

이 중 욕구에서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욕망이 발현된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주체적인 욕망으로 살아가는 것처럼 느낀다. 하지만 라깡은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결론지었다.

머리가 띵해진다. "내가 내 욕망대로 살아가는 데 왜 다른 사람의 욕망을 욕망한다는 것일까?."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고 관찰해보자! 내 주변의 모든 것이 '타자의 욕망'으로 가득한 것에 놀랄 수밖에 없다.

욕망은 가정에서부터 시작된다. 어린 자녀들이 자신이 원하는 삶이 아닌 은연중에 부모가 원하는 학교와 진로, 직업을 갖도록 흐름을 만들어 종용한다.

그리고 다양한 쇼핑 앱으로 물건을 사거나 OTT(Over The Top)를 통해 드라마나 영화를 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욕망의 덩어리가 된 듯하다.

어찌 보면 내 인생은 부모나 대기업, 정부의 정책과 무관하게 나 스스로에 의해 결정되어 살아가는 것 같다. 그렇지만 보이지 않는 시스템들이 은연중에 작동되어 자신의 무의식은 슬그머니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느낀다.

특히 정부나 대기업 등에서 만든 다양한 시스템과 콘텐츠들, 직장에 고용된 후 수행하는 다양한 업무들은 따지고 보면 대통령, 고위직 공무원, 전문가들, CEO 등이 만들어 놓은 타자의 욕망을 위해 움직이고 있음을 눈치챌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라깡은 어떤 무엇인가를 했을 때 자신의 욕망이 채워진 것처럼 느껴지지만 '환상'이라고 말한다.

‘장 보드리야르’도 욕망하는 세상을 보며 '토끼'를 '쥐'라고 이름 붙이면 쥐가 되는 세상이라고 말한다.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거짓 현실에 노예가 되지 않도록 균형 잡힌 사고를 가져야 한다는 조언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이 존재했다 사라졌다. 많은 사람은 다양한 음식과 돈, 명예와 쾌락을 맛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가슴 한가운데 뻥 뚫린 허무의 공간을 지닌 채 살아갔을 것이다.

이 공간은 블랙홀 같아서 그 어떤 무엇을 가져다 가득가득 채워도 메꿔지지 않는다. 사람들은 욕망의 공간을 늘리기 위해 그 무엇을 채우려 동분서주한다. 그렇지만 채울 수 없다. 결국 ‘팡세’가 말했던 '신 없는 인간의 비참함'에 빠지게 된다.

‘장 자크 루소’도 "욕망은 우리를 자꾸자꾸 끌고 간다. 도달할 수 없는 곳으로 끌고 간다. 우리의 불행은 거기에 있다"고 했는데, 라깡 역시 '욕망은 충족될 수 없다'고 말하며 단지 계속 만들어지는 욕망의 과정이 있을 뿐이라고 했다.

결국 인간은 끊임없는 욕망을 갈급하다가 '대타자의 욕망'으로 이동하게 될 뿐이다. 우리의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조상영 미술학 박사(미술작가·평론)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3.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