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 희망을 현실로 바꾸자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 희망을 현실로 바꾸자

김명숙/수필가

  • 승인 2023-12-12 15:00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김명숙 수필가
김명숙 수필가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바다가 불러주는 자장 노래에/팔 베고 스르르르 잠이 듭니다/아기는 잠을 곤히 자고 있지만/갈매기 울음소리 맘이 설레어 다 못 찬 굴 바구니 머리에 이고/ 엄마는 모랫길을 달려옵니다

한인현 선생님께서 작사하시고 이홍렬 선생님께서 작곡하신 '섬집 아기'라는 노래다.

이 노래의 주인공이나 이 노래를 불렀던 당시의 어린이들은 '잘 살아보는 것'이 희망이었다. 그리고 그 희망은 현실로 바뀌어 '보릿 고개' 가 없어지고, '꽁보리밥'도 사라졌다. 웬만하면 자가용을 굴리고 외국유학 가는 이들도 많다.

이처럼 '희망을 현실로 바꾸는 것' 이는 생(生)을 받은 모든 이들의 소망일 것이다. 소망을 이룰 수 있었던 힘은 "잘 살아보자"라는 구호 아래 우리 국민들이 힘을 모았기 때문이다. 바로 이 단결된 마음이야말로 희망을 현실로 바꾸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올해도 또 한 해가 저물어 간다. 마지막 남은 한 장의 달력을 보며 지난 한 해를 생각해본다.

통상 연말연시를 맞아 많은 계획과 다짐을 하며 연말을 보내는 나 자신에게 올 한해 만큼은 다사다난했는지? 우리는 또 지난 일 년이 한 날 하루 같았음을 뒤 돌아 본다. 한 해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그 또한 지나가리라는 희망의 끈을 잡고 이렇게 당당하게 살아 가고 있다.

반 평생을 앞만 보고 살다 보니, 주변의 가까운 이들의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며 인생이란 무엇인지 삶의 물음 앞에 서게 된다. 시인 세네카는 "인생은 짧은 이야기와 같다. 중요한 것은 그 길이가 아니라 값어치"라 말했다. 세네카가 말한 '값어치' 그게 바로 단결된 마음이 아닐까?

미국에서 청소년 소아과 의사로 나름 잘 나가던 여의사가 있었다. 그녀는 태어나기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적 우간다를 갔다가 미국에 정착하게 되면서 의대를 졸업하고 존스 혹킨스 병원을 비롯한 여러 미국의 유명한 병원에서 나름 성공한 그런 여성이었다. 동양인으로 미국의 최고의 병원의 의사가 되었기 때문에 성공하고 또 꿈을 이룬 사람이라고 자신은 잘 풀린 인생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의 내면에는 '내 인생은 실패했다'라고 인정할 수밖에 없는 일들이 생겼다고 한다. 사랑하여 결혼했던 남편의 지속적 폭력, 어머니의 자살 시도, 자매들의 불화 등 그녀에게 닥친 위기는 의사가 되어서 계속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동양인이라고 하는 인종차별로 누가 뭐라하지는 않지만, 의사로서 더 완벽하고 잘해야 된다는 정신적인 압박감으로 행복하지 못한 삶을 살았다고 했다. 또 40대에는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마음도 몸도 지쳐가다보니 남들이 부러워하는 의사직을 결국 그만두게 되었고 마음속에 자신을 억누르던 울분을 누구에게도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의 상처를 어딘가 표출을 해야 되는데 할 데가 없어 글을 쓰게 되었고 글쓰기를 통해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였다고 했다.

작가가 되어 살아온 인생을 담담하게 풀어낸 글로 그해 미국에서 푸시카트상 후보로 세 차례나 받게 되었다고 한다. 그녀의 책에서 "인생이 뭘까?"에 대한 답을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것이고 희망을 나의 삶의 현실로 이루어내는 여정이 곧 인생이다"라는 결론을 맺었다.

이들의 성공한 인생 속 이야기는 절망적인 상황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현실로 이루어내는 것이고 우리 민족은 단결된 마음으로 희망을 현실로 만들었던 것이다.

갑진년 새해가 다가오고 있다. 새해에는 나랏일을 하는 국회의원을 뽑는 해이기도 하다.

엄마를 기다리다 잠든 섬집 아기도, 그 노래를 부르며 뛰어놀던 어린이들도 모두가 희망을 현실로 만든 주인공들로 살고 있다.

우리 민족은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민족이다. 그래서 2024년 갑진년 새해에 희망을 걸어보는 것이다.

김명숙/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